
류 실장은 "지방정부의 강점은 결국 현장에서 정말 필요로 하는 지원을 할 수 있다는 것인데, R&D 지원도 다르지 않다. 각각 움직이는 학교, 연구기관 등 지역 내 자원을 엮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체계를 만드는 게 핵심인데 대표적인 사업이 기술지원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지역 내 자원이 기업에 닿을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작업을 확대해 올해는 국내 대기업, 해외 기업들과 도내 중소기업들이 연계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도는 삼성전자가 보유한 기술 200여개가 중소기업에 무료로 제공될 수 있도록 이끌어냈고 원천기술에 강점을 가진 러시아와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십수년간 기술개발사업을 진행하며 도가 키운 R&D 지원 역량이 원동력이 됐다. 이에 더해 연구자 중심의 R&D 지원 방안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류 실장은 "도의 '공정', '상생' 가치가 R&D 지원사업에서도 발휘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유승경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원장… 행정기관·현장 가교연결 최선 다할 것

그러면서 자금,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게 새로운 제품·서비스 개발은 언감생심 꿈꾸기 어려운 부분인데 오히려 새로운 도전에 소극적인 점이 빠른 시대 변화 속 기업의 발전을 더디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점이 안타까웠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기업 활동이 위축된 상황 속 경과원이 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지원정책을 만드는 행정기관과 기업 현장의 가교역할을 하겠다는 점을 강조했다.
유 원장은 "중소기업은 경영상 위기가 발생하면 연구개발 활동을 축소할 수밖에 없다. 기업의 발전을 견인하는 연구개발 활동의 지속성을 담보하는데 있어 경과원과 같은 전문 지원 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기술개발사업 지원율이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하는 등 위기 속 기업들의 공공 R&D 지원 수요가 높은데, 지금 왜 이 기술이 필요한지 적극적으로 나서는 기업이 지원받을 확률이 높은 것 같다. 공정하고 투명한 지원으로 필요한 기업들에게 적합한 지원이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