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핵실험 탓 상황 악화… 결국 폐쇄 선언

이런 상황 속에서 북한은 공단 출입을 통제한데 이어 그해 4월 북한 근로자를 전원 철수하고 개성공단 사업을 잠정 중단한다고 발표하는 등 일방적 결정을 내렸다.
당시 정부는 공단 내 인력을 철수했으나 북한과 직접 대화하는 자리를 마련했고, 그 결과 북한의 잠정 중단 발표 3개월 만인 2013년 7월 남북 간 실무회담이 판문점 통일각에서 열렸다.
이후 7차례의 회담을 거쳐 남북은 '개성공단의 정상화를 위한 합의서'를 채택하고, 공단 중단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어떠한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운영키로 상호 합의했다.
하지만 그 약속은 오래가지 못했다. 2016년 1월 북한이 4차 핵실험을 단행한 데 이어 2월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게 결정적 계기였다. 핵실험 이후 공단 출입 인원을 줄인 정부는 2월10일 공단 가동을 전면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공단을 통해 북한에 유입된 자금이 핵·미사일 개발에 이용되는 걸 막겠다는 명분에서였다.
이번에는 북한이 아닌 우리 정부에서 먼저 공단 중단을 결정했고, 이에 북한은 이튿날 성명을 통해 공단 전면 폐쇄를 선언했다. 2004년 공단에서 첫 생산품이 나온 지 12년 만의 일이었다.
/기획취재팀
▶디지털 스페셜 바로가기 (사진을 클릭하세요!)

※기획취재팀글 : 황성규차장, 공승배, 남국성기자사진 : 조재현기자편집 : 김동철, 박준영차장, 장주석기자그래픽 : 박성현, 성옥희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