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준시장

이재준(사진) 고양시장이 코로나19 확진자가 줄어들지 않는 상황에서 새롭게 진행되는 서울시의 독자적 방역 행보에 제동을 걸고 나서 주목된다.

이 시장은 19일 최근 오세훈 서울시장이 밝힌 코로나19 '서울형 상생방역'구상과 관련, "고양시를 포함한 인접 경기도와 인천시 등 수도권 지역에 반드시 거대한 부정적 외부효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서울시와 인접한 고양시에 미칠 파장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고양시는 많은 시민이 서울에 직장이나 경제활동 거점을 갖고 있고 서울을 비롯, 수도권의 확진자 발생 상황에 따라 경제, 교육, 문화 등 각 분야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고양시 사회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15세 이상 고양시민의 통근·통학 지역은 서울이 32.4%에 달한다.

최근 3개월간 타 지역에서 감염된 코로나19 고양시민 확진자 중 54%가 서울에서 감염된 것으로 시는 파악했다.

김안현 고양시 덕양구보건소장은 "시는 지난해 서울에서 있었던 8·15집회 이후 코로나19가 경기도와 인천시 등 수도권 전역으로 퍼졌고 연쇄적인 가족감염과 고양시 내 n차 감염까지 더하면 그 비중은 더욱 커진다"며 "최근 고양시는 지난 12일부터 방역당국과 자체 방침에 따라 식당, 카페, 어린이집, 유흥주점 등 취약분야에 대해 집중점검을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서울시의 독자방역 행보에 시민들이 크게 불안해하고 있다"며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경계가 맞닿은 방역 공동체로 서울의 방역 엇박자는 시민에게는 큰 혼란을, 인접 지자체에는 불필요한 방역 비용과 확진자 증가를, 전국적으로는 대유행의 단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방역은 정치도 경제도 아닌, 시민의 안전과 생존이 직결된 것으로, 경기도와 인천시 등 인접 지자체들과 긴밀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양/김환기기자 kh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