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도망 확충을 위한 범시민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철도망 확충에 사활을 건 광주시가 현실화를 위한 후속조치에 나섰다.
최근 시는 '광주시 철도연계를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입찰공고를 내고, 시의 고질적인 교통문제 해소 및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본격화에 시동을 걸었다.
이번 용역에 앞서 시는 지난해 말 '광주시 철도망 구축계획 연구용역'을 완료한 바 있으며, '광주시 중장기 철도망 구축 정책포럼' 및 '경기도 동남부지역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유치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여론 수렴에 나선바 있다.
광주지역 내 철도 추진방향은 지난달 열린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 수립연구 공청회'에서 위례~성남~삼동 구간(총 10.4㎞, 광주 1.7㎞)을 연결하는 철도망 사업이 사실상 확정됐으며, 경강선 연장사업으로 추진된 광주시와 용인시, 안성시를 연결하는 '삼동~안성' 노선이 추가 검토 사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해당 사업은 광주~용인~안성 총 57.3㎞(광주 9.1㎞) 구간을 경강선 연장하는 것이다. 국민청원까지 제기하며 힘을 쏟았던 GTX-D 노선의 광주 확장은 일단 불발됐다.
이런 가운데 이번 연구용역에서는 광주시 교통수요 예측분석과 GTX(광역급행철도) 등 광주시 철도망 확충을 위한 기술적 검토를 비롯해 경제적 타당성 및 재무적 타당성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정책적 분석 및 기대 효과 분석 등 정책제안을 담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인구증가와 생활권 확대, 도시개발 등 도시성장과 광역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GTX를 포함한 철도망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라며 "이에 광주시 철도망 확충과 이에 따른 환승 편의 제공 및 원활한 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를 시행하게 됐다"라고 추진이유를 설명했다.
최근 시는 '광주시 철도연계를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입찰공고를 내고, 시의 고질적인 교통문제 해소 및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본격화에 시동을 걸었다.
이번 용역에 앞서 시는 지난해 말 '광주시 철도망 구축계획 연구용역'을 완료한 바 있으며, '광주시 중장기 철도망 구축 정책포럼' 및 '경기도 동남부지역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유치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여론 수렴에 나선바 있다.
광주지역 내 철도 추진방향은 지난달 열린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 수립연구 공청회'에서 위례~성남~삼동 구간(총 10.4㎞, 광주 1.7㎞)을 연결하는 철도망 사업이 사실상 확정됐으며, 경강선 연장사업으로 추진된 광주시와 용인시, 안성시를 연결하는 '삼동~안성' 노선이 추가 검토 사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해당 사업은 광주~용인~안성 총 57.3㎞(광주 9.1㎞) 구간을 경강선 연장하는 것이다. 국민청원까지 제기하며 힘을 쏟았던 GTX-D 노선의 광주 확장은 일단 불발됐다.
이런 가운데 이번 연구용역에서는 광주시 교통수요 예측분석과 GTX(광역급행철도) 등 광주시 철도망 확충을 위한 기술적 검토를 비롯해 경제적 타당성 및 재무적 타당성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정책적 분석 및 기대 효과 분석 등 정책제안을 담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인구증가와 생활권 확대, 도시개발 등 도시성장과 광역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GTX를 포함한 철도망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라며 "이에 광주시 철도망 확충과 이에 따른 환승 편의 제공 및 원활한 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를 시행하게 됐다"라고 추진이유를 설명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