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0901000284500014162
/클립아트코리아

코로나19 겪는 중에도 11만여명 이용 '100% 초과' 사업실적 달성
신속한 온라인교육 전환·비대면 키트 제공 '전국 우수사례' 꼽혀
상주 직원 외 아이돌보미 등 320여명 활동가 지역 곳곳에서 노력
市, 경기도 여성가족재단 유치나서 "서비스 향상 이바지 큰 기대"


2021050901000284500014165
"우리 사회가 발전하고 미래로 나아가려면 기본적으로 가정이 건강해야 합니다."

김포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현대 사회 구성원들의 가족문제 해결을 종합적으로 돕는 곳이다. 긴 기관 명칭만큼 센터를 처음 방문하는 이들 대부분은 '이렇게까지 많은 일을 할 줄은 몰랐다'는 반응을 보인다.

사회 구성요소에서 가족문제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은 이들은 센터에서 건강한 성장을 경험한다. 김연화 센터장과 23명의 상주 직원은 가족의 변화가 사회 발전을 이끈다는 확신으로 하루하루 전력 질주한다.

004
김포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다양한 대상자별 맞춤형 서비스를 위해 연중 추진하는 사업들. /김포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제공

김포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개인 및 다양한 형태의 가족에게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가족지원서비스를 원스톱 제공, 가족관계 증진에 기여하면서 가족 안정성을 강화할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이다.

교육·상담·사례관리·돌봄서비스·정보 및 장소 제공·문화활동·네트워크형성 등 공공서비스의 종합 백화점이라 할 만큼 연중 빽빽하게 프로그램이 채워져 있다.

센터는 이원화돼 있던 김포시건강가정지원센터와 김포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통합 운영된 지 2년째이던 지난해 코로나19를 겪는 와중에도 지자체 및 민·관·학 연계, 온오프라인 전략적 운영을 통해 11만여명의 시민이 서비스를 이용하며 목표대비 100%가 넘는 사업실적을 달성했다.

대규모 가족교육과 한국어교육 등을 신속하게 온라인교육으로 전환하고 비대면 키트를 제공한 것은 전국에서 우수사례로 꼽힌다.

주된 업무는 '가족관계사업', '가족돌봄사업', '가족생활사업', '지역공동체사업', '다문화특성화사업', '가족특성화사업' 등 크게 여섯 가지로 나뉜다. 분류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다문화에 국한되지 않고 가족 전체를 아우른다.

초창기에는 관련법상 가족문제 예방 및 치료가 목적이었으나 시대 변화에 따라 육아품앗이, 가족동아리 및 가족봉사단 지원 등 서비스 범위가 넓어졌다.

005
김포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다양한 대상자별 맞춤형 서비스를 위해 연중 추진하는 사업들. /김포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제공

센터 프로그램 대상자는 나이와 성별, 소득, 출신을 망라한다. 저소득, 다문화, 조손, 미혼모·부, 한부모, 북한이탈주민, 난민 등 취약계층뿐 아니라 일반 가정도 수혜 범위에 포함된다. 김포가 유독 사업을 활발히 펼치는데 이 정도까지의 기능을 하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경기도에서 드물다.

취약위기가족 역량강화사업과 다문화가족 사례관리를 통해 기틀을 마련해둔 가족돌봄사업은 올해 여성가족부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 전국 8곳에서만 시행하는 '방임 아동·청소년 원가정 기능회복 지원사업' 공모에 선정돼 더 확장한다.

센터에서는 아버지교육, 부부 역할 지원, 이혼 전·후 가족지원 등 가족 갈등 해결을 위한 프로그램이 상시 가동된다. 건강한 가정과 사회를 이루는 데 기초가 되는 사업이다.

혼자 앙육하며 아이에게 다가가는 방법을 몰랐던 남성도, 엄마·아빠 나라의 다른 문화 때문에 남몰래 고민하던 아이도, 한국인에게는 당연한 일상에 적응 못 하던 이주민도 센터를 거쳐 가며 안정을 찾는다.

이 밖에 1대1 아이돌봄서비스와 육아나눔터 등 돌봄사업도 센터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이고 결혼이민자·중도입국 자녀·이민자 가족 등 다문화 가정 서비스도 촘촘하게 추진하고 있다. 국가별 국수문화를 비교 체험하는 '누들로드'와 매월 마지막 수요일의 '가족영화데이' 등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많다.

센터에는 상주 직원 말고도 아이돌보미와 배움지도사, 방문지도사, 상담사 등 320여명의 활동가가 지역을 누빈다. 김연화 센터장 또한 '다양한 가족' 이해교육, 가족친화 직장교육, 부모교육 등 강단에 선다.

002
김포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다양한 대상자별 맞춤형 서비스를 위해 연중 추진하는 사업들. /김포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제공

김 센터장은 "워라밸이 중시되는 요즘에도 너무 열성적으로 일들을 해서 내가 사무실 불 끈다고 엄포를 놓으며 퇴근시킬 정도"라고 직원들을 칭찬했다.

센터의 프로그램에는 필연적으로 다양성이 존재한다는 전제가 밑바탕에 자리한다.

김 센터장은 "우리 문화권에도 이전부터 문화와 종교, 가치관이 제각각인 사람들이 모여 살아왔지 않느냐"며 "앞으로는 저출산·딩크족·1인 가구 등으로 훨씬 다양한 가족형태가 존재하게 된다. 이럴 때 가장 기본적인 생활 단위인 개인과 가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센터는 맞춤형 사례관리와 찾아가는 서비스를 점차 확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다문화와 비다문화 구분이 없는 프로그램을 늘려 사회통합과 소통을 유도 하는 중이다.

김 센터장은 "김포의 급속한 도시화와 인구 증가, 개인·가족 유형의 다양화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해 맞춤형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며 "최근 서울 쪽에서 이주한 젊은 인력이 많고 이는 곧 여성과 가족, 양육과 관련해 중요한 도시가 됐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포시가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유치전에 뛰어든 데 대해 "김포에 여러 인프라가 구축돼 있기 때문에 재단을 유치하면 도내 여성과 가족의 복지, 일·가정 양립, 돌봄서비스 향상 등에 이바지하는 바가 클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일러스트/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