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귤화위지(橘化爲枳)'란 말이 있다.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때 얘기로, 강남에 심은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되듯이 사람도 주위환경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비유한 고사성어다."
요즘 '동에 번쩍, 서에 번쩍' 분주한 날을 보내고 있는 광주시 신동헌 시장이 문득 이 말을 꺼냈다. 현안도 현안이려니와 광주의 미래를 그릴 중요한 이슈(교통망 확충, 공공기관 이전)에 집중하면서 새삼 이 고사성어가 떠올랐다는 신 시장.
신 시장은 "몇 년전 잘 알던 국책연구기관이 전남으로 이전했다. 서울에서 이전했는데 문제는 당시 우수한 연구인력이 많이 빠져나갔다는 것이다. 안타까운 일이 아닐수 없다"며 균형발전을 명분으로 도내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 중인 상황에서 광주시의 역할론을 꺼내들었다.
"각종 규제로 고통받고 소외된 지자체를 위한 이전에 너무 공감하고 감사하다. 하지만 귤이 탱자가 되는 것은 피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우수한 인재가 기반이 돼야 하는 기관일수록 더욱 그렇다"는 신 시장은 도내 공공기관의 우수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경기도가 수도권 중심이면서 앞으로 해야 할 역할이 큰만큼 인재 유출이 이뤄지는 일은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광주시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의 유치를 희망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교롭긴 하지만 대승적 차원의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광주시가 구상중인 '융복합의 트라이앵글(삼각)벨트'도 이 시점에서 눈여겨볼 대목이라고 강조한다.
판교와 전철로 12분대, 광교와 20분대인 광주시는 '광교테크노밸리- 판교테크노밸리- 광주밸리'로 이어지는 경제과학의 '신 삼각벨트'를 구축하겠다는 복안인데 경기도를 넘어 전국에서 주목할 테크노벨트로 잠재력이 기대되는 부분이다.
신 시장은 "광주는 8가지 항목에 걸쳐 소위 8첩 규제를 받고 있다. 전국 최고 규제지역이면서 종합대학 하나없고, 공장설립도 제한됐다. 이렇다보니 전화위복이라 해야하나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지정학적으로는 각종 중심도시와 가깝고 교통망이 좋다. 굴뚝없는 산업, 즉 융복합 산업의 적임지다"라고 다시 목소리를 높였다.
요즘 '동에 번쩍, 서에 번쩍' 분주한 날을 보내고 있는 광주시 신동헌 시장이 문득 이 말을 꺼냈다. 현안도 현안이려니와 광주의 미래를 그릴 중요한 이슈(교통망 확충, 공공기관 이전)에 집중하면서 새삼 이 고사성어가 떠올랐다는 신 시장.
신 시장은 "몇 년전 잘 알던 국책연구기관이 전남으로 이전했다. 서울에서 이전했는데 문제는 당시 우수한 연구인력이 많이 빠져나갔다는 것이다. 안타까운 일이 아닐수 없다"며 균형발전을 명분으로 도내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 중인 상황에서 광주시의 역할론을 꺼내들었다.
"각종 규제로 고통받고 소외된 지자체를 위한 이전에 너무 공감하고 감사하다. 하지만 귤이 탱자가 되는 것은 피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우수한 인재가 기반이 돼야 하는 기관일수록 더욱 그렇다"는 신 시장은 도내 공공기관의 우수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경기도가 수도권 중심이면서 앞으로 해야 할 역할이 큰만큼 인재 유출이 이뤄지는 일은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광주시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의 유치를 희망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교롭긴 하지만 대승적 차원의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광주시가 구상중인 '융복합의 트라이앵글(삼각)벨트'도 이 시점에서 눈여겨볼 대목이라고 강조한다.
판교와 전철로 12분대, 광교와 20분대인 광주시는 '광교테크노밸리- 판교테크노밸리- 광주밸리'로 이어지는 경제과학의 '신 삼각벨트'를 구축하겠다는 복안인데 경기도를 넘어 전국에서 주목할 테크노벨트로 잠재력이 기대되는 부분이다.
신 시장은 "광주는 8가지 항목에 걸쳐 소위 8첩 규제를 받고 있다. 전국 최고 규제지역이면서 종합대학 하나없고, 공장설립도 제한됐다. 이렇다보니 전화위복이라 해야하나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지정학적으로는 각종 중심도시와 가깝고 교통망이 좋다. 굴뚝없는 산업, 즉 융복합 산업의 적임지다"라고 다시 목소리를 높였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