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투자합작 하반기에 사업 논의
공공주도형 첨단산업 추진 전망도
市 의지속 사업 정체성 의구심 일자
시의회, 수립촉구 결의안 채택 압박
"도대체 삼동(역세권)에 몇 개의 개발 사업이 추진되는 건가. 공공개발도 한다 하고 민간도 참여한다 하고."
최근 진행된 광주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삼동역을 중심으로 한 개발 정체성을 지적하는 시의원들의 질문이 이어졌다. 광주 삼동역은 지난 4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에 '위례신도시역에서 광주 삼동역'까지 연장하는 내용(위례삼동선, 2027년 완공 예정)이 포함돼 관심이 쏠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삼동지역 개발사업이 우후죽순 발표되자 시가 중심이 돼 사업의 가닥을 잡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지난 4월 광주시는 삼동역세권 주변에 민간투자사와 개발을 위한 '금융 투자사업을 통한 도시개발사업 업무협약 동의안'을 통과시키고 삼동스마트시티 개발사업에 시동을 걸고 나섰다. 민간투자사로 하나금융투자 주식회사와 부국증권이 참여(4월17일 인터넷 보도)하며, 하반기에 사업에 대한 구체적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광주시는 지난해 삼동지역 내 공공주도형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타당성 조사에 들어간 바 있다. 아직 조사가 마무리되지 않아 구체화된 바는 없으나 첨단산업 관련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전해졌다.
개발에 대한 시의 의지는 드러나지만 좀처럼 속도가 나지 않고 사업 정체성에 대해서도 의구심이 일자 지난 1일 광주시의회는 '삼동역세권 개발계획 수립촉구 결의안(박현철, 이미영 의원 공동 대표 발의)'을 의결했다.
삼동역세권 개발계획에 대해 광주시가 좌충우돌하는 사이 중대동 물류단지가 재추진되고 있다며 시의 명확한 입장표명과 삼동 역세권 개발의 조속한 추진을 촉구했다.
한편 시 관계자는 "삼동 개발과 관련해 여러 의견이 개진되고 있고, 현재 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인 만큼 섣불리 진행하기보다 시의 발전을 도모하는 사업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