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역 군의관이 인공지능 기반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하는 기능이 있는 의료용 챗봇을 개발해 화제다.
육군 9사단 의무근무대 한의군의관 이현훈 대위(30)가 이끄는 연구팀이 논문 '스마트폰을 활용한 의료용 인공지능(AI) 챗봇'을 개발했다.
논문은 의료정보학 분야에서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세계적 학술지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에 게재됐다.
챗봇은 문자나 음성 대화기능이 있는 인공지능으로 이현훈 대위 연구팀이 개발한 챗봇의 핵심 기능은 사람의 뇌가 생각하는 방식을 적용한 인공지능 기술인 딥러닝을 기반으로 환자 상태에 맞게 진료 서비스를 추천하는 프로그램이다.
딥러닝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기술을 바탕으로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분석해서 어떤 과목의 진료를 받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이 대위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장병들의 문진 일정이 지연되는 등 여러 가지 제한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의료서비스 개발에 착수했다.
때마침 국방부 주관으로 '군 장병 온라인 해커톤(Hackathon.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이 개최된다는 소식을 접한 이현훈 대위는 주변에 관심있는 병사들을 모아 연구팀을 구성하고 본격적인 개발에 나섰다.
그 결과 한 달 만에 '국군 장병을 위한 AI 기반 비대면 의료서비스 Meditact(메디텍트)'라는 주제로 참가해 지난해 11월 국방부 장관상을 수상하는 값진 성과를 달성했다.
이 대위는 보다 향상된 기능을 가진 의료서비스를 국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개발을 지속했다.
그 결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의료용 인공지능(AI) 챗봇'이라는 연구 논문을 완성해 의료정보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5월호에 게재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현훈 대위는 "챗봇개발을 위해 도와주신 여러 장병과 아낌없는 조언을 해준 동료 군의관들에게 감사한다"며 "전문가들과 함께 챗봇 서비스를 더 발전시켜 환자들이 보다 신속히 그리고 최적화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환경 개선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육군 9사단 의무근무대 한의군의관 이현훈 대위(30)가 이끄는 연구팀이 논문 '스마트폰을 활용한 의료용 인공지능(AI) 챗봇'을 개발했다.
논문은 의료정보학 분야에서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세계적 학술지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에 게재됐다.
챗봇은 문자나 음성 대화기능이 있는 인공지능으로 이현훈 대위 연구팀이 개발한 챗봇의 핵심 기능은 사람의 뇌가 생각하는 방식을 적용한 인공지능 기술인 딥러닝을 기반으로 환자 상태에 맞게 진료 서비스를 추천하는 프로그램이다.
딥러닝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기술을 바탕으로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분석해서 어떤 과목의 진료를 받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이 대위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장병들의 문진 일정이 지연되는 등 여러 가지 제한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의료서비스 개발에 착수했다.
때마침 국방부 주관으로 '군 장병 온라인 해커톤(Hackathon.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이 개최된다는 소식을 접한 이현훈 대위는 주변에 관심있는 병사들을 모아 연구팀을 구성하고 본격적인 개발에 나섰다.
그 결과 한 달 만에 '국군 장병을 위한 AI 기반 비대면 의료서비스 Meditact(메디텍트)'라는 주제로 참가해 지난해 11월 국방부 장관상을 수상하는 값진 성과를 달성했다.
이 대위는 보다 향상된 기능을 가진 의료서비스를 국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개발을 지속했다.
그 결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의료용 인공지능(AI) 챗봇'이라는 연구 논문을 완성해 의료정보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5월호에 게재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현훈 대위는 "챗봇개발을 위해 도와주신 여러 장병과 아낌없는 조언을 해준 동료 군의관들에게 감사한다"며 "전문가들과 함께 챗봇 서비스를 더 발전시켜 환자들이 보다 신속히 그리고 최적화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환경 개선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고양/김환기기자 kh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