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62301010009201.jpg
2024년 조성이 완료되는 제2·3 판교테크노밸리의 도로 확장·신설 등 교통대책을 놓고 성남시와 LH가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사진은 금토JC 부근에 조성되고 있는 제2·3 판교테크노밸리 등 공공·공영지구 일대. 2021.6.23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외부 연결 되는 도로 3곳 불과
성남시, LH에 추가 대책 요구
"도로확장·출입로 신설로 부족"
4차 국가철도망에도 포함 안돼


올해 말과 오는 2024년 각각 조성이 완료되는 제2·3판교테크노밸리 교통 대책을 놓고 성남시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충돌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한 몸인 제2·3판교테크노밸리는 고속도로로 둘러싸여 있고 철도도 없다. 도로에 기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성남시는 두 곳의 신설 주택·입주기업, 유동인구 등을 감안해 LH가 계획하고 있는 도로 확장·고속도로 진출입로 신설 등으로는 교통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출퇴근 시간을 중심으로 자칫 판교테크노밸리보다 더한 교통전쟁 등의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며 추가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LH는 기술적인 이유 등을 들어 난색을 표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15년 1월 기존의 판교테크노밸리 바로 옆에 제2·3판교테크노밸리를 조성해 판교 전체를 '창조경제밸리'로 육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11월에 '제2판교테크노밸리'(43만여㎡), 2018년 8월에 '제3판교테크노밸리'(성남 금토공공주택지구·58만3천여㎡)에 대한 지구 지정이 이뤄졌다. '제2판교테크노밸리'는 올해 말, 지난 7일 기공식을 가진 '제3판교테크노밸리'는 2024년까지 각각 조성이 완료된다.

이런 2·3판교테크노밸리는 개발 시기만 다를 뿐 지리적으로 이웃해 있어 사실상 한몸이다. 개발 주체인 LH·경기주택도시공사(GH)에 따르면 제2테크노밸리는 2천여개의 기업과 10만명 이상의 인재들이 집적되는 혁신성장 클러스터가 목표다.

제3판교테크노밸리는 한국판 뉴딜사업 시범도시로 추진된다. 상업·자족시설 및 공공·민간아파트 3천600여가구 외에 600여개 기업이 예정돼 있다.

하지만 두 곳 밸리를 지나는 철도는 없다. 최근 발표된 제4차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도 두 곳 밸리와 관련된 사안은 포함되지 않았다. 차량이 유일한 교통수단이 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다 두 곳 밸리는 고속도로에 둘러싸여 있다. 특히 두 곳 밸리의 5분의3 이상은 경부·용인서울·제2경인·수도권제1순환 등 4개 고속도로 사이에 섬처럼 자리잡고 있다.

현재 두 곳 밸리에서 외부로 통하는 도로는 대왕판교로와 연결된 2~4차선 달래내길, 청계산 옛골을 거쳐 서울 서초구로 이어지는 2차선 달래내길, 대왕판교IC를 통한 경부고속도로 등 3개가 유일하다.

정부와 경기도가 각각 내세운 '창조경제밸리', '뉴딜사업 시범도시'라는 목표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통 문제 개선이 선행돼야 하는 상황이다. → 위치도 참조·3면에 계속([경인 WIDE] "판교원마을行 새 도로 깔자"… "기술 문제·반대 민원 검토중")

2021062401000991900047641

성남/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

 

2021062401000991900047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