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지가 인상 토지수용비 증가
도로신설·기반시설 확충 추가로
당초 계획된 3.3㎡당 '1350만원'
최근 1600만~1700만원까지 거론
광주지역 최초 민간공원특례사업으로 조성되는 '중앙공원'내 아파트의 분양가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확대 폭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초 3.3㎡당 1천350만원대로 계획된 분양가가 최근 1천600만~1천700만원대까지 거론되자 최근 분양된 광주지역 아파트가 3.3㎡당 1천450만원대였음을 감안하면 지역시세와 괴리가 있다는 분위기다. 일부에선 사업자의 역량까지 도마에 오르고 있다.
29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오는 12월 착공을 앞두고 있는 '중앙공원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과 관련해 해당 사업자가 분양가 조정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경안동 산2-1 일원에 추진되는 중앙공원은 2025년 준공을 목표로 44만8천192㎡의 공원부지를 민간사업자 컨소시엄인 (주)지파크개발이 개발한다. 전체 부지 중 35만여㎡를 공원으로 조성해 기부채납하고, 10만여㎡는 공동주택을 분양해 수익을 보존하는 구조다.
공동주택은 처음엔 총 2천140여 가구로 계획됐으나 한강유역환경청과 협의를 거치며 450여 가구가 축소된 1천700여 가구로 확정됐다.
특히 이목을 끄는 것은 입지다. 경강선 광주역과 인접하고 사방에 주·간선도로가 맞닿아 있으며 이미 주변에 수천가구 규모의 역세권 대단지가 들어서 있다. 지역에서는 민간특례사업으로 기존 대비 분양가까지 저렴할 것으로 예상돼 수년 전부터 분양일정에 관심이 모아졌다.
그러나 공시지가 인상으로 인한 토지수용 비용이 증가하고, 도시공원위원회에서 도로 신설 및 입체화 등 기반시설 확충 주문도 추가되면서 분양가 조정이 불거지고 있다.
분양공고만 기다리고 있다는 H씨는 "사실 입지나 지가 등을 감안했을때 1천300만원대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봤다. 하지만 1천700만원대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현 사업자가 능력이 안 된다면 사업자를 바꿔야 하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 관계자는 "제안서상 민간사업자가 제시한 공원조성비는 축소할 생각이 없고, 분양가는 제안서 외 관련 부서 및 각종 위원회에서 추가 기반시설 등에 대한 자세한 자료를 제출받아 이를 토대로 분양가 인상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며 "더 이상 논란이 없도록 조속한 시일 내 착공 전 사업이행보증금을 예치하고 공원시설부지 기부채납, 공공기여금 현금예치 등 안전장치가 마련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