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_3.jpg
광주지역 도심내 군부대 이전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도심 빌딩과 주택단지들 뒤편 산 중간에 군부대 사격장이 보이고 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


경기도 내 곳곳에서 도심지 군부대 이전이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도심지 군부대 '이전 추진'의사를 밝혔던 광주시가 1년째 답보상태를 보이자 지역에서 '안 하는거냐, 못 하는거냐'는 반응이 제기되고 있다.

각 지자체들이 군부대 이전부지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렇다 할 활용안을 찾지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탄벌동 등 도심 3곳에 5개 기지 위치
송정동은 사격 소음 민원 끊임없어


18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10여년간 현안으로 대두만 될 뿐 이렇다할 움직임이 없던 광주지역 도심지 군부대 이전과 관련해 시는 지난해 7월 국방부에 이전 추진 의사를 전달(2020년 7월22일자 8면 보도=진척 없던 '광주 군부대 이전사업' 급물살)하며 이전후보군까지 논의 선상에 올려 본궤도에 오르는 듯했다.

현재 광주지역에는 송정동(밀목)과 탄벌동 등 3곳의 핵심 도심권에 군부대 5곳이 위치해 있다. 1950년대 들어선 송정동 공병단(부지 25만9천여㎡·용도지역 자연녹지)의 경우, 사격이 이뤄지는 부대 특성상 주변 4개 학교 및 주택가로부터 소음 민원이 끊임없이 올라왔다.

이에 군부대 이전이 지역숙원사업이 됐고 지난해 시는 송정동(26만여㎡)과 탄벌동(6만7천㎡) 군부대 이전을 가시화했다.

사업 활용안 못찾은게 아니냐 지적
市 "국방부 협의 등 사전작업 계속"


이런 가운데 지난 11일 홍남기 부총리는 '남양주시 소재 군부대 이전부지에 주택 3천200호를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앞서 부천에서는 오정동 군부대 이전사업을 통해 민간사업시행자가 공동주택 4천여 가구를 선보이는 사업이 발표된 바 있다.

연천군의 경우 지난달 국방부가 6포병여단과 기부 대 양여 조건부로 이전을 승인한 가운데 연천군은 군부대가 떠난 자리에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복합커뮤니티센터를 건립키로 했다.

이처럼 군부대 이전이 도내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지만 광주지역은 사업에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도심은 포화상태에 이르고 각종 민원은 속출하는데 이전 의지는 있는 것이냐'는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수차례 사격소음 민원을 제기했다는 한 시민은 "군부대 인근에 행정타운도 있고 2천가구 가까운 주택단지(송정지구, 송정공원 민간특례사업)도 들어서는데 이럴 때 (밀목)군부대 이전까지 논의해 도로 등 기반시설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리는 게 합리적이지 않느냐"고 주장했다.

시 관계자는 "국방부와 실무협의를 추진 중인 상황에서 구체적 사안을 얘기하긴 곤란하지만 분명 이전작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전지가 확정된 것은 아니나 사전작업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