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0901000358200016611.jpg

고양시가 코로나19로 운영난을 겪는 8천여업소에 총 80억원 규모의 '특별휴업지원금'을 지급한다고 9일 밝혔다.

대상은 그동안 정부나 시에서 지원을 받지 못했지만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은 10개 업종이다.

업종은 여행업, 화훼농가, 어린이집, 학교급식 공급 농가·업체, 버스·택시 종사자, 농촌체험·치유 교육농장, 길벗가게, 종교시설 등으로 개소당 100만원씩 지급될 예정이다.

또 올해 2월 거리두기 2단계 기간, 4월 시 긴급 멈춤 방역기간 당시 집합금지 조처가 내려졌지만 별도 지원을 받지 못했던 주짓수·킥복싱 체육관, 무도(장)학원도 지원 대상에 포함됐다. 이들은 업소당 200만원씩 지급받는다.

시는 집합 금지·제한 등 시에서 내린 코로나19 행정명령을 성실히 이행한 업소를 대상으로 작년부터 올해까지 3차례에 걸쳐 총 335억원의 특별휴업지원금을 지급했다. 하지만 영업 제한 명령을 받지 않았더라도 개점 휴업 상태이거나 매출 감소 등 영업제한에 준하는 타격을 입은 업종이 있을 것이라는 이재준 시장의 판단에 따라 지난달부터 한 달간 업종별 현황을 파악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여행업이다. 여행업체들은 집합금지에 준하는 개점휴업 상태가 2년째 계속되며 고사 위기에 처했다. 시 효자산업인 화훼산업 역시 물량의 80%가 경조사용으로 판매되던 구조에서 각종 경조사와 행사가 취소되면서 물량을 전량 가까이 폐기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어린이집의 경우 정원의 70%도 채우지 못해 운영난을 겪고 있으며, 버스업체도 승객 감소와 버스 노후화까지 겹쳐 경영이 악화한 상태다. 택시도 승객이 줄었을 뿐 아니라 영업시간이 연장됐지만 정부지원은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시 관계자는 "해당 업종 대표들과 여러 차례 간담회를 열어 이들의 고충을 듣고 지원방안을 논의한 끝에 우선 단기적인 생계 지원방안으로 '특별휴업지원금'을 지급키로 했다"고 밝혔다.

고양/김환기기자 kh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