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jpg
사진은 광주시 오포읍에 대규모로 건설되고 있는 오포물류단지. /경인일보DB
 

'수도권 교통의 요지'란 이점에 우후죽순 들어섰지만 지역사회에 큰 실속은 없어 광주지역 '민원유발 시설', 이른바 계륵이 되어버린 물류단지가 끝나지 않은 전쟁을 예고하고 있다.

신규 인허가는 사실상 힘들 것으로 전망되지만 수년 전부터 이미 물류단지 행정절차를 밟아 신설 가능한 곳이 3~4곳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된다.

15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시는 신규 물류단지 입지 제한에 강력한 목소리(2020년 10월23일자 6면 보도)를 이어가 지난해 '광주시가 동의하지 않는 한 원칙적으로 불가'라는 인허가권자인 경기도의 방침을 이끌어냈다.

하지만 이미 사업이 추진 중인 곳이 6개소였고 이후 2개소는 반려 처분을 받았음에도 4개소는 향후 시기만 미정일뿐 입지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광주 물류단지 현황을 보면 경기도 27개 물류단지 중 9개소가 집중된 가운데 ▲2곳(초월, 도척물류단지) 운영 돌입 ▲2곳(오포, 직동)은 공사 중이거나 보상사업 중 ▲2곳(중대, 퇴촌)은 인허가단계 ▲3곳(신대, 학동, 봉현)은 반려된 상황이다.

 

신규 인허가 힘드나 과거 절차 밟아
시기만 미정일뿐 입지 이뤄질 전망
지역최대 직동 사업비 2700억 관심
市 "기추진 사업 지역과 상생해야"


이런 가운데 일부 물류단지들의 움직임이 최근 가시화되며 관심을 불러모으고 있다. 2016년 국토교통부 실수요검증을 통과하고 이듬해 경기도에 물류단지지정 및 실시계획승인을 신청한 바 있는 중대물류단지가 본격 인허가 추진에 나섰다.

그동안 환경영향평가에 따른 사업부지 축소 등으로 추진이 보류돼 왔으나 지난 8월 다시 보완서류를 제출했다. 경기도는 광주시로 협의 요청한 상태다.


2222.jpg
광주 '중대동 물류단지 조성사업' 부지인 광주시 중대동 산21-1 일원의 모습. /경인일보DB

2016년 지정 고시돼 사실상 착공만 앞두고 있는 직동물류단지는 사업기간 변경으로 추진 계획을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사업비만 2천700여 억원에 달하고 규모 면에서도 지역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돼 관심이 집중된 곳이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올 연말 사업 완료를 목표로 했으나 토지보상 등으로 지연되는 모양새다. 인허가 절차는 마친 만큼 착공시기만 유동적인 상황이다.

이 밖에도 단지지정 및 실시계획 승인 신청이 반려된 물류단지 가운데 학동물류단지가 이의 제기를 하고 나선 것으로 알려졌으며 향후 사업 향배에도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대형화물차량 운행에 따른 소음·분진 관련 생활불편, 경기도갈등관리심의위원회 1등급 갈등사업 지정에 따른 주민갈등, 광역교통망 확충부족에 따른 시 재정 부담 가중 등으로 신규물류단지 입지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럼에도 이미 기추진된 물류단지에 대해선 기존과 같은 문제를 반복하지 않고 지역사회와 상생할 수 있도록 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