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42801001165100057231.jpg
사진은 광주시청 전경. /광주시 제공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광주지역 택시업계(9월15일자 9면 보도=도농복합 택시 호출 많은데… 광주시, 콜서비스 지원 고민)를 위한 지원책 마련이 추진된다.

지난 27일 광주시는 '택시산업 발전 지원 조례 일부 개정안'을 입법 예고하며 오는 10월18일까지 의견취합에 나섰다.


브랜드 택시 'GJ콜' 활성화 방안
기사 건강검진비 지원 등 복리후생


개정안은 호출서비스 이용료 지원을 주 내용으로 하며 이를 통해 브랜드택시 활성화 및 이용자 편의를 증진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지역 내 택시기사들은 브랜드택시인 GJ콜의 서비스 호출비로 매달 3만5천원을 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시는 복리후생에 관한 재정지원을 통해 보건 위생 증진 및 안전한 운송사업 환경을 구축하려는 내용도 담았다. 일례로 기사들에게 건강검진비를 지원해 복리후생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또한 재난 발생 시 재정지원을 통해 택시업체의 경영난 악화와 운수종사자 감소 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조례 개정안 입법 예고 의견 취합
내달 통과시 내년부터 지원 예정


시는 다음 달 광주시의회 임시회에서 개정안이 통과되면 내년부터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택시업계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일단 브랜드택시 호출서비스 이용료부터 지원키로 했다"며 "추후에는 '너른고을' 앱택시를 개발·운영해 기사들은 배차 건수에 따른 인센티브를 얻고 시민들은 콜비 없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 이를 통해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를 이끌어내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지역에는 개인과 법인택시 포함 총 427대의 택시가 운영 중이며, 택시 수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지난해 말 기준 택시 1대당 인구수는 923명으로 도내 평균 택시 1대당 인구수 366명과 큰 차이를 보인다. 전국에서 두 번째로 인구수 대비 택시가 적은 상황이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