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평군이 교육과 체육을 통합해 한 부문으로 선정하는가 하면 부문별 수상자 선정을 못하는 경우가 잇따라 발생함에도 매년 '군민대상'을 시행해 논란이 되고 있다.
4일 가평군에 따르면 군민대상은 매년 지역사회와 군정발전에 헌신·봉사해온 군민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교육·체육, 사회봉사, 환경, 산업경제, 지역안정 등 6개 부문으로 나눠 선정한다.
수상 대상자는 군민대상 추천 공고일 현재 3년 이상 군에 거주하면서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자, 관내 직장을 두고 3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자, 군에 본적을 둔 출향 인사 등이다.
하지만 2018·2019년 2개 부문, 2020년 3개 부문, 올해 4개 부문에서 수상자를 내지 못했다. 특히 지난 4년간 교육·체육부문은 한 차례만 선정했으며 환경부문 수상자는 전무하다.
또한 교육·체육부문은 서로 다른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한 개 부문으로 묶어 선정기준이 모호, 분야별 특성에 맞게 다른 정성·정량평가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다른분야 묶어 '선정기준 모호'
"인프라 취약 격년 시행" 제기
이와 관련 군은 지역 특성상 인적자원 부족과 심사위원회의 엄정한 심사 등에서 비롯된 결과라는 설명이다. 덧붙여 심사위원회에서도 제언이 있었던 만큼 향후 시상 부문 조정에 대한 논의 등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주민 김모(47)씨는 "적은 인구, 농·산촌 기반 등 가평 지역 특성상 군민대상 수상자 인프라가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격년 선정도 생각해 볼 사안이며 서로 다른 분야를 같은 모집단위로 선정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또 다른 주민은 "이러한 현상은 군민대상의 희소가치가 높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심사 기준을 강화해 군민대상을 최고 권위의 상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성기 군수는 "군민대상은 매년 군민의 날을 기념해 군의 명예를 빛나게 했거나 지역사회 발전에 헌신·봉사해 온 군민을 대상으로 각 분야의 1인을 선정 수상하는 영예로운 상"이라며 "어느 분야에 수상자를 선정하지 못했다고 심사 기준을 완화한다든지 하는 편법은 없을 것이며 앞으로 선정기준을 강화해 군민대상의 위상이 높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