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71401000550700025731.jpg
광주시가지 전경. /광주시 제공
 

광주지역 내 도심화가 가속되고 있는 가운데 주민이 살지 않는 빈집도 늘며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일부는 장기간 방치되며 우범지대로 전락, 인근 주민들의 민원 대상이 되고 있다.

5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관내 방치된 빈집은 93호로 파악됐다.

주택유형별로는 단독주택(69%)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다세대주택(7%), 연립주택(2%), 아파트(1%) 순으로 조사됐다. 단독주택들은 대부분 읍·면 지역에 많이 분포했는데 시는 이들 지역에 대해 농어촌정비법에 따른 빈집 정비 조항을 근거로 빈집(64호)을 정비·활용해 나가기로 했다.

무허가주택(19호)을 제외한 나머지(10호, 동 지역)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해 '광주시 빈집정비계획'을 세우고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93가구'로 대부분 단독주택 차지
철거후 텃밭·주차장 등 활용키로


시는 우선 존치가 힘든 빈집(3~4등급)은 철거하고 마을공동텃밭이나 마을주차장, 쉼터 등으로 탈바꿈하기로 했다. 이보다 상태가 양호한 건물(1~2등급)에 대해선 리모델링 후 주민공유공간이나 청년활동 지원공간으로 활용키로 했다.

도심 속 빈집은 경안동·쌍령동·탄벌동·송정동·직동 등에 고루 퍼져 있는 상황이다. 그중에서도 경안동이 절반을 차지하는데 이곳의 한 주민은 "주택가가 밀집해 있다 보니 어느 한 집이 방치되면 금세 흉물로 변하고 주변 환경도 저해된다. 하지만 주민들이 나서는 데 한계가 있고 시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전했다.

시 관계자는 "타 지역과 비교하면 빈집이 급증하는 것은 아니나 경각심을 갖고 있다"며 "건물 등급에 따라 철거나 리모델링을 진행해 안전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역맞춤형 정비계획을 세워나가고 있다. 오는 2026년까지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