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차 공모 무산 이후 소강 국면에 들어갔던 가평군 공동형 종합장사 시설 건립 사업(2020년 5월 4일 1면=가평에 남양주·포천 참여 '공동형 장사시설' 추진)이 또다시 지역 이슈로 급부상, 결과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군 장사시설건립추진 자문단(이하 자문단)이 주민 제안사업 공고 추진 계획 등 사업을 원점에서 추진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업 추진·공모 찬반, 군수 주민 소환 서명 운동 등을 겪은 반대 대책위, 주민 등 간의 갈등이 재점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군이 장사시설 관련, 지난 6월 반대 대책위 측 등의 주민토론회 개최와 3차 공모를 추진하지 않을 것 등의 요구사항을 받아들이면서 일단락됐지만 이 같은 자문단 사업 재추진 계획이 알려지면서 민·민, 민·관 등의 갈등이 빚어지는 양상이다.
군은 자문단 회의에 앞서 '미래발전 군민 대토론회', '가평군 장사시설 추진방향 설문조사'를 통해 군민 의견을 수렴하고 개선방안을 마련, 공모사업이 아닌 군민 자율 제안사업으로 전환,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반대 측은 반대대책위 등이 참석하지 않은 군민 대토론회와 군의 의도가 담긴 설문조사 결과 등에 대해 불공정한 행태라는 지적이다.
정연수 반대 대책위원장은 "가평군 '미래발전 군민 대 토론회'는 가평군수 주민소환투표 서명 과정에서 나왔던 군민 의견은 제쳐놓고, 가평군이 선정한 패널들로 구성해 개최됐다"며 "여론조사는 가평군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원정화장, 10배의 화장비 부담으로 불편하니 가평군에 화장터를 설치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또 "1년여 동안 가평군의 장사시설에 관한 행태를 보며 '가평에 맞는, 가평군민을 위한, 장사(葬事)에 관한 가평의 안을 찾기에 공명정대하게 진행하고 있는가?' 에 의구심을 품을 수밖에 없다"며 "공고 내용을 자세히 살펴본 후 향후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평군, 자문단 회의 앞서 설문조사등 통해 의견 수렴
군민 자율 제안사업으로 전환, 추진한다는 입장 밝히자
반대측, 반대대책위 등 참석 안 한 토론회 등 불공정 지적
"개최 전 수차례 참석 요청… 설문조사는 전문기관에 의뢰"
군민 자율 제안사업으로 전환, 추진한다는 입장 밝히자
반대측, 반대대책위 등 참석 안 한 토론회 등 불공정 지적
"개최 전 수차례 참석 요청… 설문조사는 전문기관에 의뢰"
군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3차 공모가 아닌 주민 제안 사업으로 추진된다"며 "반대 대책위 등에서 요구한 주민토론회, 설문조사 등 군민 의견을 수렴한 결과를 토대로 자문단에서 결정한 사항이며 주민들 자율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토론회 개최 전 반대 대책위에 수차례 참석을 요청했다"며 "설문조사는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 국내 전문 기관에 의뢰한 결과물"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자문단은 지난 8일 14차 회의를 열고 장사시설 관련, 제안사업공고 등 사업 추진 계획을 심의 의결했다.
부지면적은 10만㎡ 이상으로 화장시설, 봉안시설, 자연장지, 장례식장, 부대 시설 등이며 단독·공동형의 규모는 신청마을 자율 결정 사항이다
자문단은 유치지역에 화장로 최소 3기 이상, 최대 10기 이하로 1기당 20억 최대 20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유치 마을(1개 이상 행정리)에는 수익시설 운영권과 일자리 제공, 화장 수수료 면제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이어 "토론회 개최 전 반대 대책위에 수차례 참석을 요청했다"며 "설문조사는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 국내 전문 기관에 의뢰한 결과물"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자문단은 지난 8일 14차 회의를 열고 장사시설 관련, 제안사업공고 등 사업 추진 계획을 심의 의결했다.
부지면적은 10만㎡ 이상으로 화장시설, 봉안시설, 자연장지, 장례식장, 부대 시설 등이며 단독·공동형의 규모는 신청마을 자율 결정 사항이다
자문단은 유치지역에 화장로 최소 3기 이상, 최대 10기 이하로 1기당 20억 최대 20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유치 마을(1개 이상 행정리)에는 수익시설 운영권과 일자리 제공, 화장 수수료 면제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