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택시가 포승읍 도곡리 일원에 추진 중인 '평택 자동차 클러스터' 조성사업과 관련, 이 사업은 수익 발생 구조와 개발 이익 활용 등이 '성남 대장지구'와는 확연히 다르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의 이 같은 단호한 입장 표명은 최근 자동차 클러스터 조성사업이 정치권을 뒤흔들고 있는 대장지구사업과 비슷하다는 소문이 빠르게 확산되자 이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市, "비슷하다" 소문 확산 차단
"산업·복합시설 용지 조성 목적
조성원가 5%, 과도한 수익 없어"
13일 시는 대장지구는 전체 개발용지 중 공공시설을 제외하고 대부분 주거용지로 계획한 반면 평택 자동차클러스터는 산업시설용지 및 자동차 관련 복합시설용지 조성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산업단지 내 산업시설용지는 50% 이상을 분양토록 하고 있지만 공공재 성격이 강한 이 사업은 조성원가의 5%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에 과도한 수익이 발생할 수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2019년 개발계획 수립 용역이 착수되면서 시작된 이 사업은 지난 12일 민간사업자 접수 마감일이었지만 사업계획서가 미제출됐고, 사업 관련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되며 금융권 참여 유보 등 컨소시엄 구성에 어려움을 겪으며 현재 위기를 맞고 있다.
시가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자동차클러스터 조성 계획은 자동차 관련 문화·관광·상업과 산업의 다기능 복합단지 등으로 구성됐으며 면적은 최대 146만899㎡, 적정 78만5천973㎡다. 자동차산업, 자동차 유통, 문화·상업 및 주거 등이 사업 목적으로 사업비는 3천600억~8천400억원이며 민간합동개발(공공 SPC)로 평택도시공사와 우선협상대상자가 사업을 이끌어 간다. 토지수용 방식은 도시공사에서 담당한다.
시 관계자는 "산업단지는 조성원가+이익(5%)으로 분양하기 때문에 이익이 적다. 사업협약체결 전 사업의 수익성을 산정 후 과도한 이익에 대한 환수 방안을 협의하기 때문에 과도한 수익은 발생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