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쉼터인 '나눔의집'이 운영 정상화를 위해 임시이사회를 꾸린(1월7일자 8면 보도=광주시 '나눔의 집' 임시이사 선임 절차 돌입) 가운데 이사들 간 갈등이 고조,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나눔의집은 지난 3월 임시이사회 운영 체제로 들어간 상태로 임시이사회 이사진은 기존 이사 3명에 임시이사 8명을 포함, 총 11명으로 구성됐다.
이런 가운데 8일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집 이사 4명(이승우, 최세진, 황의철, 한일경)이 9일 열릴 임시이사회를 앞두고 '나눔의집 정상화를 위한 긴급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조계종 4인 정상화위한 기자회견
"5인의 '마지막 제안' 내용증명에
다른이사들 폄훼 파행책임 돌리고
회의 강행 예산안 통과 불법 자행"
이들은 "최근 나눔의집 이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임시이사 5인의 이름으로 '나눔의 집 정상화를 위한 임시이사의 마지막 제안'이란 문건의 내용증명이 전해졌다"며 "(내용증명을 발송한 이들은) 자신들 이외의 다른 이사들이 나눔의집 정상화를 위해 책임 있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시간 끌기만 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다른 이사들을 폄훼하고 임시이사회의 파행책임을 돌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덧붙여 "임시이사 5인은 이사회 개최가 불가하다는 법인감사의 지적에도 불구하고 임시이사회를 강행해 나눔의집 예산안을 통과시키는 등 불법을 자행하고 있다. 투명해야될 임시이사회가 이사회 개최사항을 지금까지 다른 이사들의 요구에도 계속 비공개로 진행하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한편 지난달 28일 임시이사 5인이 승려 이사 4명 등 다른 이사 6명에게 내용증명으로 보낸 마지막 제안에는 ▲'조계종 승적을 가진 사람이 임원의 3분의2로 한다'는 정관 규정을 '5분의1'로 개정하고, 조계종 승적을 가진 사람이 감사직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나눔의집 역사관의 재산·회계를 법인에서 분리하고 독립적 운영을 보장한다 ▲2015~2019년 후원금 중 사용을 않고 전입시켜둔 후원금(90여억원)을 토지 매입이 아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돌봄, 명예, 인권회복, 역사교육 등 사업비로 사용한다는 등의 6건이 담겼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