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왕시의 내년도 주요사업인 '청계산업단지 조성'이 자칫 표류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사업관련 의왕시와 공동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경기도에서 민간협업 개발사업에 대한 개발제한구역(GB) 해제에 부정적인 기류가 감지됐기 때문이다.

18일 의왕시 등에 따르면 2014년 1월부터 오는 2025년 12월까지 포일동 224번지 일원 약 24만㎡ 규모의 GB(그린벨트)에 18억원을 들여 의왕청계테크노파크(산업단지·이하 제2산단) 건립을 추진 중이다.

제2산단 건립사업은 판교테크노밸리·광교테크노밸리·과천지식정보타운 등과 함께 수도권 R&D 벨트로서 산업 외에 생산·연구·문화 등 복합기능을 지닌 첨단산업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시는 지난 9월 초 제2산단 조성사업을 위한 GB 해제 및 조사·개발계획 수립·개발사업 실시계획인가 등 설계용역 착수보고회를 진행했다.

 

'GB 해제, 민간협업 최대한 지양'
경기도 지침·대장동 사태 악영향
"당초 예상보다 2년 이상 늦어질 듯"


이와 함께 GB 해제를 위해 지난달까지 도와 사전 협의를 진행, 내년 12월까지 GB 해제 관련 행정절차를 이행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앞서 지난해 3월 민간과 협업해 이동 15만8천㎡ 부지에 제1산단인 의왕테크노파크를 준공한 바 있어 제2산단 역시 민간협력 개발사업으로 진행하려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지난 6월 말께 GB 해제 관련 시·도 사전협의 중 "GB 해제는 공공개발을 원칙으로 하며 민간이 참여하는 해제사업의 경우 최대한 지양해야 한다"는 '경기도개발제한구역해제통합지침'이 제기되면서, 제2산단 사업이 제 일정대로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불거졌다.

시 안팎에서는 "성남 대장동 사태가 매머드급으로 확산되면서 민간협업 개발사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아졌다. 당초 예상된 공사기간보다 2년 이상 늦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도 관계자는 "공공개발 우선 원칙은 GB가 공공재여서 공공으로 귀속해야 하는 대전제가 깔려 있다"며 "대장동 사태로 인해 제2산단 추진에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의왕/송수은기자 sueun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