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아라뱃길이 정식 개통한 지 만 10년이 됐다. 길이 18㎞, 폭 80m, 수심 6.3m의 인공수로인 아라뱃길은 서해와 한강 길목에서 '수도권 물류혁명'을 꿈꾸며 지난 2012년 5월 개통했다. 공사에 투입된 비용은 2조7천억원에 달했다.
기대와 다르게 아라뱃길은 물류·해운분야에서 기능을 못 하며 뇌리에서 잊혀 갔고, 서부 수도권 주민들의 여가시설 이상도 이하도 아닌 상태로 기약 없이 흘렀다. 그 사이 정부는 아라뱃길 업무를 국토교통부(옛 건설교통부)에서 환경부로 이관했다.
공론화위 '운수 축소' '친수 전환'
권고받은 정부, 아직도 결정 못해
정책 뒤집힐 것 염두했나 시각도
환경부 "과업 정리·통합과정 필요"
권고받은 정부, 아직도 결정 못해
정책 뒤집힐 것 염두했나 시각도
환경부 "과업 정리·통합과정 필요"
아라뱃길을 방치할 수 없었던 환경부는 사회적 합의를 통한 기능 재정립을 목적으로 '경인아라뱃길 공론화위원회'를 가동했다. 여러 전문가와 시민사회가 참여한 공론화위는 지난 2018년 10월 구성된 후 20여 차례의 논의와 3차례 숙의·토론회, 3차례 시민위원회 등을 거치면서 아라뱃길의 새로운 역할을 찾아 나섰다.
2년여 활동 끝에 공론화위는 운수로 기능을 대폭 축소하는 대신 인천·김포 여객터미널과 컨테이너 부두를 문화관광·친수기능으로 전환시키고, 운수로 수질을 3등급으로 관리할 것을 올해 초 정부에 권고했다. 권고 직후 세부 이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환경부·해양수산부·국토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K-water) 협의체가 꾸려졌다.
[[관련기사_1]]공론화위 권고로부터 약 1년이 경과한 현재, 아라뱃길의 미래가 어떤 방향으로 결정됐다는 소식은 아직 들려오지 않는다.
일각에선 관계 부처들이 정치권 눈치를 보느라 쉽게 결론짓지 못할 것이라는 주장이 불거졌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재보궐선거 당시 '한강르네상스 시즌2 세계로 향하는 서해주운'(여의도~경인아라뱃길 입구) 구상을 밝힌 데다, 대선도 코앞으로 다가왔기 때문에 아라뱃길 정책이 뒤집힐 것을 염두에 두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이 같은 주장의 밑바탕에 깔렸다.
하지만 환경부는 공론화위의 권고안을 실행에 옮기기 위한 작업을 그동안 꾸준히 추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 관계자는 "올해 초 공론화위가 종료되고 4월 중순에 '경인아라뱃길 기능 개선방안 연구' 용역을 발주하려 했는데 아무도 응찰하지 않았고, 5월 말에 두 번째 공고를 냈을 때도 무응찰로 유찰됐다"며 "이후 공론화위에서 도출된 과업이 너무 광범위하다는 자문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공론화위)과업을 축소할 수는 없지만 과업을 다시 정리하고 통합하는 과정이 필요했다"며 "환경부가 주무 부처이긴 해도 항만은 해수부, 하천은 국토부와 연관이 깊어 8월 말까지 부처 간 협의를 진행하고 용역에 발주할 과업지시서를 최종 수정했다"고 부연했다. → 관련기사 3면([경인 WIDE] 아라뱃길 개선안 나와도 이해당사자 '반대 물살' 만만찮아)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