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가 시 최초의 공영개발 산업단지 조성(11월17일자 8면 보도=물류단지 이슈에 밀렸던 산업단지 조성… 광주지역 곳곳서 사업 본궤도 올라)을 공식화한 가운데 해당 지역 주민들이 '협의 없는 일방적 통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지난 23일 오후 광주 곤지암읍 행정복지센터에 지역 주민 및 관계자, 공무원 등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주 공영개발 산업단지 조성사업(건업지구, 삼리지구)' 산업단지계획 등에 대한 주민 열람 및 합동 설명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건업지구에 대한 설명회가 진행됐고 해당 지역민들은 "주민들과 의견 수렴 없이 일방적인 통보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며 "시의 행정을 수용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건업지구 설명회서 주민들 "의견수렴 없는 일방행정 수용 못해" 반발
"금속가공품 제조업 등 유치 또다른 공해 유발… 강행이유 납득 안가"
덧붙여 "주민 동의 없이는 한강유역청에서 허가를 받을 수 없다고 알고 있는데 시에서 산업단지 조성을 강행하는 이유를 납득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산업단지 조성으로 인한 환경파괴를 시에서 책임질 것이냐고도 따져 물었다.
시가 추진 중인 건업지구는 동곤지암IC와 인접해 있는 곤지암읍 건업리 405번지 일원으로 5만9천853㎡ 규모로 계획됐다. 주거지 등과 거리가 있고 교통요지에 있으나 30년 넘게 분뇨 등 각종 악취에 시달려 현재도 주민 민원이 진행 중인 상황이다.
산단이 입지계획을 밝혔지만 민원과 관련해선 해결책이 제시되지 않아 주민 반발이 큰 상황이다.
마을 이장 A씨는 "악취 문제에 대해 원론적 답변만 시행해 주민들의 고통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라며 "산단 계획을 보면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가구제조업 등을 유치하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또 다른 공해가 유발되는 것 아니냐"고 되물었다.
시 관계자는 "공영개발 산업단지 추진과 관련해 2019년 이후 기본구상 및 적정 입지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진행해 왔다"며 "이번은 주민 의견을 청취하는 자리인 만큼 폭넓게 의견을 수렴해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공영개발 산단은 오는 2024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