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문화적 권리로 숨 쉬는 군포'. '문화도시'를 꿈꿔온 군포시가 마침내 4차 예비도시로 뽑히면서 문화도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바로 '사람'을 지향점으로 삼은 것인데, 이는 문화도시를 갈망하는 시·군 지자체에 신선한 자극을 주기에 충분하다.
과연 군포시가 만들어가는 문화도시는 무얼까. 문화도시 조성계획을 살펴보자.
■ 문화도시 군포시
시는 정부의 법정 문화도시 지정 심사를 앞두고 바쁜 하루를 보내고 있다. 예비 문화도시는 앞으로 1년간 지자체 예산으로 예비사업을 추진한 뒤 심의위원회 평가를 거쳐 내년 12월 최종 지정된다. 문화도시가 되면 5년간 최대 100억원의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각 지자체가 문화도시를 꿈꾸고 있지만 문화도시로 뽑히기까지는 험난하다.
문화체육관광부 문화도시심의위원회가 심의를 통해 이번 전체 광역 및 기초지자체 49곳 가운데 군포시 등 11곳만 예비 문화도시로 선정했기 때문이다. 11곳은 1년간 성과를 내야 최종 관문을 통과할 수 있다.
■ 시민의 문화적 권리
한대희 시장은 정부의 법정 문화도시 지정 심사를 앞두고 서문에 '문화도시 군포의 지향점은 결국 사람입니다'라고 정의했다.
사실 시는 문화도시라고 하기 무색할 정도로 열악한 환경에 직면해왔다. 시는 면적 36.32㎢로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세 번째로 규모가 작고 녹지 비율도 70%에 달한다. 문화 기반시설은 총 139개로 공연·전시시설이 부족한 데다 역사자원 9개, 축제 19개 등 문화콘텐츠도 약하다.
게다가 철쭉축제를 제외한 지역의 대표적 축제가 없어 문화에 대한 원동력을 찾기 어려운 도시였다. 특히 1기 신도시의 노후화와 고령화, 청년 인구 활동 감소, 인구 유출 등 도시 전반에 걸친 활력 감소 문제로 문화적 관심의 배경이 필요했다.
이에 시는 시민 사회 참여 활동에 대한 시민의 강한 의지와 열망을 반영, 시민자치 도시 실현을 모색했고, 그 결과 문화도시를 위해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의 동력을 바로 '사람' 그리고 '문화'에서 시작했으며 시민의 의견을 바탕으로 문화도시 과제들을 지난 3년 넘게 착실히 수행해왔다.
0
1년간 지자체 예산으로 예비사업 추진 뒤
심의위 평가 거쳐 내년 12월께 최종 지정
전국 세번째로 작은 규모·녹지 70% '열악'
시민자치 도시 실현 모색 3년 넘게 착실히
시는 지난 2019년부터 문화도시를 착실히 준비해왔다.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100인 위원회'를 출범했다. 민관협치기구인 100인 위원회는 각기 다른 분야의 시민 100인이 모여 토론회와 간담회 등을 거쳐 시의 정책에 반영하는 등 높은 열기를 보였다.
그 결과 100인 위원회의 '시민과 소통하면 통한다'는 행정안전부의 '지자체 숙의기반 주민참여 및 협력·분쟁해결 우수사례 경진대회' 숙의기반 주민참여 분야에서 최우수 지자체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시는 지난해 문화도시 포럼, 시민기획단을 운영했으며 8개 공공기관과 문화도시 조성 관련 업무협약을 통해 시민의 참여도를 높였다. 또 문화도시 조성 및 지원 조례를 제정했고 올 초 시민 중심국을 신설하는 조직 개편도 단행했다.
이어 26개 부서 간 업무협력을 지원하는 문화도시 행정협의회를 발족하고 문화도시 포럼, 군포시의회 문화도시 교육, 도시 탐사대 발족 등 '사람' 중심의 행정을 완성했다.
■ 문화도시, 시민이 만든다
시는 문화도시를 위해 비전으로 '시민의 문화적 권리로 숨 쉬는 군포'로 정했다.
또 3대 핵심가치로 ▲시민의 자율적 참여 ▲도시·자연·사람 간의 연결 ▲도시의 문화적 창의성 등을 선택했다. 도시문화 형성의 주체도 ▲시민자치 ▲문화자치 ▲동네자치 등 3개 분야 자치와 생태적 삶의 환경을 조성하는 특성화 과제인 '수리산맥 플러스(PLUS)'를 추진하고 있다.
'숨 쉴 수 있고, 즐길 수 있는' 도시를 만들어 가는 과정인 수리산맥 플러스는 도시 단절성을 극복하고 나아가 수리산 연결을 통해 도시 생태계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문화도시의 가치를 지닌다.
여기에는 자연과 도시를 다각적으로 연결해 도시 생태계의 선순환을 이루는 '도시생태 사이클 프로젝트'와 지역 생태자원을 활용해 '생태', '핸드메이드'에 특화된 시민만의 브랜드 축제인 '수작 페스티벌', 그리고 전국에서 다양한 장인 유치·지원으로 특성화된 핸드메이드 장인 마을 조성 및 다양한 주체와의 협력을 지원하는 '군포 장인마을 조성 및 운영' 등이 포함됐다.
■ 문화도시 1년 남았다
이제 최종관문을 넘기까지는 1년 남았다. 문화도시는 시와 시의회의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는 예비사업기간에 공론장 및 네트워크 운영 등을 통해 조성계획 수립 과정을 거치고, 활발히 이뤄지는 시민공론활동 등을 지속·확장하는 데 집중한다. 또 문화도시 추진을 위한 제도를 정비해 거버넌스의 기반을 다지는 데도 중점을 둘 계획이다.
예비사업 기간 4개 영역 아래 8개 전략 과제 운영 및 문화도시지원센터도 운영한다.
'군포도시탐사대'와 '군포아카이빙 센터'를 구축·운영하며 '자율주행' 시민 공모사업과 문화도시 추진사항 공유 체계 구축(앱 개발)과 도시문화자원 DB 및 문화지도도 구축한다. 또 라운드 테이블 '문화잇수다', '군포 문화도시 포럼', '네트워크 믹스 파티'를 운영하고, 군포문화도시 가치 확산에 대한 홍보도 진행한다.
2019년 '100인 위원회' 출범 市 정책 반영
8개 공공기관 업무협약·시민 중심국 신설
'수리산맥 플러스' 도시 생태계 형성 가치
거버넌스 기반 추진 단계별 진행방안 마련
특히 시는 문화도시 추진 단계(도입기-성장기-안정기-성숙기)에 따라 착실히 진행할 방안도 마련했다.
2022년 예비 문화도시답게 문화도시지원센터 설립 및 성과관리 운영 방안을 마련하고 운영체계를 구축하며, 2023년(1년차)에는 시민참여 자치기반 활성화를 하고 2024년(2년차)과 2025년(3년차)에는 사업전개와 장소기반 조성(수리산맥 플러스 특성화 사업 추진)을 시행할 계획이다.
이어 2026년(4년차)에는 문화도시 브랜드를 구축하고 2027년(5년차)에는 문화도시 선언을 한다. 2027년부터는 중장기 계획으로 문화적 권리로 숨 쉬는 군포를 확장해 문화도시의 브랜드를 완성한다.
한 시장은 "문화도시 사업은 그동안 행정이 갖고 있던 권한을 시민들에게 넘겨주고 함께하는 사업"이라며 "문화도시의 완성은 시민 거버넌스를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군포/신창윤기자 shincy2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