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관리공사가 위탁대행사업만 하는 곳이냐. 개발사업으로 수익을 낸다면서 한 게 뭐냐'. 매년 광주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주도시관리공사'를 감사할 때면 으레 나오는 단골 지적사항이다.
1999년 설립된 광주도시관리공사는 올해로 22년을 맞았지만 '공사명칭에서 '도시'를 뺀 '관리공사'로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로 한계를 의심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1일 제9대 수장으로 박남수 신임 사장이 취임했다.
조직은 비대해지고 사업분야는 확대됐지만 역할을 의심받는 분위기 속에 신임 사장의 어깨가 그 어느 때보다 무거운 상황이다.
박 사장은 "누가 뭐라 해도 광주도시관리공사는 20년 넘게 노하우를 축적해왔다. 비록 개발사업과 관련해선 쓴소리를 듣고 있지만 늘 그래 왔듯 직원들과 힘을 합쳐 재정비해 진가를 발휘시키겠다"고 비전을 내비쳤다.
매년 행감서 '쓴소리' 탈피 비전
공사 축적 22년 노하우 발휘 다짐
'답보' 경안2지구 사업 첫 시험대
광주도시관리공사는 광주시가 100% 출자한 지방공기업으로 환경기초시설, 광주시문화스포츠센터, 공영주차장 등을 운영하고 있고, 공공하수관로 유지관리, 도로개설 및 확·포장공사, 종량제 쓰레기봉투 배송사업에다 공영마을버스 위탁운영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사업의 폭을 넓히고 있는 상황이다.
일단 신임 사장은 경안2지구 도시개발사업으로 시험대에 올랐다.
2019년 사실상 첫 개발사업으로 시행에 나섰지만 답보 중인 사업이다.
박 사장은 "경안2지구 사업은 공사가 공기업으로 면모를 갖추고 중장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되는 사업인 만큼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이번을 기회로 개발사업 추진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겠다"고 피력했다.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인력과 조직을 확충하고 장기적으로는 자본금 증자 등을 통해 개발사업이 연속적으로 이뤄지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수익창출을 이뤄내고 시민을 위한 공익실현에 역할을 하겠다는 복안이다.
끝으로 박 사장은 '소통'을 강조했다. 그는 "일단 직원들에게 일할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열악한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직원들의 사기를 이끌어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노사가 소통해야 한다. 아울러 시와도 소통을 더욱 강화할 것이다. 이것이 보다 좋은 광주를 만드는데 역할을 하는 것 아니겠냐"고 힘줘 말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