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지역이 2020년에 이어 2021년 전국 지역안전지수에서 6개 부문 모두 '하위권'에 머물러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6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행안부는 2020년 자료를 토대로 '2021년 전국 지역안전지수'를 최근 홈페이지에 공표했다.
지역안전지수는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와 75개 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교통사고와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 6개 부문에 대한 통계를 매년 집계해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정책에 활용하고 있는 지표다. 지역안전지수는 부문별로 1등급에서 5등급까지 분류된다.
하지만 이번에 발표된 안성시의 지역안전지수는 6개 부문에서 모두 3~4등급을 받아 하위권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교통사고 3등급, 화재 4등급, 범죄 4등급, 생활안전 4등급, 자살 3등급, 감염병 4등급을 받았다. 이 수치는 2019년 자료를 토대로 집계된 '2020년 전국 지역안전지수'와 비교해 화재 부문만 한 등급 상향되었고, 나머지는 그대로인 것으로 확인됐다.
범죄 등 6개 부문 '3~4등급'
화재부문만 1단계 상향 그쳐
시민들 "개선책 마련 시급"
이 같은 소식을 접한 시민 및 사회단체들 사이에서는 안전의 중요성을 위해서라도 관계 기관들이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안성시민 김모(55)씨는 "그동안 안성시는 타 지자체에 비해 각종 범죄와 재난·재해에서 안전한 도시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하위권인 지역안전지수 등급을 보고 많이 놀랐다"며 "안성시와 경찰서, 소방서 등 관계 기관들이 머리를 맞대고 개선책 마련 및 시행을 통해 안성시를 보다 안전한 도시로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안성경찰서 관계자는 "2019년에 비해 2020년에는 범죄와 생활안전, 자살 등의 사건 건수가 낮아졌는데 지역안전지수 등급이 낮게 책정된 것은 의아스럽다"며 "다만 현재 경찰서 차원에서 행안부가 어떤 자료를 근거로 지역안전지수를 집계했는지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등급 상향을 위한 정책을 발굴해 시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2021년도 관내 살인, 강도, 성폭력, 치기, 폭력 등 5대 범죄 현황은 총 1천749건으로 이 중 80%에 달하는 1천400건을 검거해 2020년도와 비교해 발생률은 7.9% 감소하고, 검거율은 3.7% 향상된 상태"라고 덧붙였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