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지역이 2021년 전국 지역안전지수에서 6개 부문 모두 하위권에 머물러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행안부는 최근 홈페이지를 통해 2020년 자료를 토대로 '2021년 전국 지역안전지수'를 공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지역안전지수는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와 75개 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교통사고와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 6개 부문에 대한 통계를 매년 집계해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정책에 활용하고 있는 지표다.
지역안전지수는 부문별로 1등급에서 5등급까지 분류된다.
하지만 이번에 발표된 안성지역의 지역안전지수는 6개 부문에서 모두 3~4등급을 받아 하위권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안성지역은 교통사고 3등급, 화재 4등급, 범죄 4등급, 생활안전 4등급, 자살 3등급, 감염병 4등급을 받았다.
이 수치는 2019년 자료를 토대로 집계된 '2020년 전국 지역안전지수'와 비교해 화재 부문만 한 등급 상향되고, 나머지는 그대로 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소식을 접한 시민 및 사회단체들 사이에서 안전의 중요성을 위해서라도 관계 기관들이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시민 김모(55)씨는 "그동안 안성시는 타 지자체에 비해 각종 범죄와 재난·재해에서 안전한 도시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하위권인 지역안전지수 등급을 보고 많이 놀랬다"며 "안성시와 경찰서, 소방서 등 관계 기관들이 머리를 맞대고 개선책 마련 및 시행을 통해 안성시를 보다 안전한 도시로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안성경찰서 관계자는 "2019년에 비해 2020년에는 범죄와 생활안전, 자살 등의 사건 건 수가 낮아졌는데 지역안전지수 등급이 낮게 책정된 것은 의아스럽다"며 "다만 현재 경찰서 차원에서 행안부가 어떤 자료를 근거로 지역안전지수를 집계했는지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등급 상향을 위한 정책을 발굴해 시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
행안부는 최근 홈페이지를 통해 2020년 자료를 토대로 '2021년 전국 지역안전지수'를 공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지역안전지수는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와 75개 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교통사고와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 6개 부문에 대한 통계를 매년 집계해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정책에 활용하고 있는 지표다.
지역안전지수는 부문별로 1등급에서 5등급까지 분류된다.
하지만 이번에 발표된 안성지역의 지역안전지수는 6개 부문에서 모두 3~4등급을 받아 하위권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안성지역은 교통사고 3등급, 화재 4등급, 범죄 4등급, 생활안전 4등급, 자살 3등급, 감염병 4등급을 받았다.
이 수치는 2019년 자료를 토대로 집계된 '2020년 전국 지역안전지수'와 비교해 화재 부문만 한 등급 상향되고, 나머지는 그대로 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소식을 접한 시민 및 사회단체들 사이에서 안전의 중요성을 위해서라도 관계 기관들이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시민 김모(55)씨는 "그동안 안성시는 타 지자체에 비해 각종 범죄와 재난·재해에서 안전한 도시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하위권인 지역안전지수 등급을 보고 많이 놀랬다"며 "안성시와 경찰서, 소방서 등 관계 기관들이 머리를 맞대고 개선책 마련 및 시행을 통해 안성시를 보다 안전한 도시로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안성경찰서 관계자는 "2019년에 비해 2020년에는 범죄와 생활안전, 자살 등의 사건 건 수가 낮아졌는데 지역안전지수 등급이 낮게 책정된 것은 의아스럽다"며 "다만 현재 경찰서 차원에서 행안부가 어떤 자료를 근거로 지역안전지수를 집계했는지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등급 상향을 위한 정책을 발굴해 시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