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동현수막2
광주시가 '역동 구시가지 재개발 정비사업' 추진을 위한 사전 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인 가운데 역동에 재개발 관련 의견을 담은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2021.12.29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

'민간'이냐 '공영'이냐. 광주의 대표적 구시가지인 역동 지역의 재개발 방식을 놓고 지역 민심이 엇갈리고 있다.

지난 10월 광주시는 광주역세권과 맞닿았지만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역동 일대의 정비를 위해 '역동 구시가지 재개발 정비사업'을 실시키로 하고, 예정구역(역동 141-6일원 1만8천705㎡, 699필지)을 3년간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고시했다.(7월21일자 9면 보도=광주시 대표 구도심 역동 재개발 정비… 난개발 방지 목적 허가 제한지역 공고)

광주 역동은 1970년대부터 본격 형성된 구시가지로 주택과 상가, 편의시설 등이 즐비하지만 이렇다 할 도시개발사업이 추진되지 않아 노후된 것은 물론 최근 경기광주역을 중심으로 역세권 사업이 순항하며 이와 대비를 이뤄 낙후성이 도드라졌다.

 

정비구역 지정전 타당성 검토 진행
"민간, 사업성 부족·인허가 지연"
"공공, 재정착률 낮아" 입장 갈려
市 "여러 의견 반영 결정 속도낼 것"


이에 시는 역동 구시가지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정비구역'을 지정, 재개발키로 가닥을 잡았다. 현재는 정비구역 지정 전 사전타당성 검토를 진행 중이며 지난달 말에는 주민설명회도 실시했다.

역동은 정비사업이 이뤄지면 광주역세권~역세권 배후지~중앙공원 개발사업으로 이어지는 벨트를 구축하며, 지역 내 중심 시가지로 기대감을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사업 필요성에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지만 그 방식에 있어서는 지역 주민들 간 이견이 팽팽하다.

역동 구시가지의 빠른 공공개념 재개발 추진을 원한다는 A씨는 광주시 온라인 청원을 통해 "민간 재개발로 가면 사업성 부족(분담금 많음), 인허가 지연(입주까지 15~20년 예상), 신축 다세대 증축으로 지분 쪼개기 및 투자자 투기판이 되고, 이권 등 우려스런 부분이 많다"며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될 공공개념의 재개발을 원한다"고 청원했다.

이런 가운데 공공방식의 재개발을 반대하는 이들도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역동주민협의회는 최근 시에 '공공재개발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아울러 현재 지정된 개발제한구역의 철회도 요청했다. 민간재개발을 주장하는 이들은 "토지나 건물을 강제로 수용하는 방식의 공공재개발을 반대한다. 타 지역에서 왜 공공개발 반대가 많은지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며 "주민들의 재정착률도 낮고, 원주민들의 재산을 빼앗아 투기세력에 나눠주는 꼴인 만큼 민간주도 재개발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 관계자는 "여러 주민 의견이 있는 만큼 이를 반영한 사전 타당성 조사를 내년 3~4월께 마무리 짓고, 사업방식과 개발방향, 사업구역 등을 빠르게 결정해 광주지역 중심시가지 면모를 갖추게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