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대통령선거 후보는 지난 21일 '코로나19 위기대응특위 긴급점검회의'를 갖고 오미크론 확산을 우려하며 새로운 방역체제 전환을 촉구했다.
이날 회의에서 이광재 의원은 사회적 거리두기, 영업제한, 셧다운 등 폐쇄와 봉쇄에 기반을 둔 종전의 방역 체계를 전환한 여주시의 '현장PCR검사' 사례를 공유했다.
이 의원은 "제가 지금 발표하는 것은 이 후보가 경기도지사 시절, (여주시를 방문해) '잘하고 있다'고 한 부분을 더 진화시킨 것"이라며 "디지털 스마트 방역으로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는 검사가 오래 걸리고 결과도 늦게 나온다. 검체를 수탁기관까지 이동하느라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점점 하루 반씩 늦어지고 있다"며 "그리고 영업제한 셧다운 때문에 소상공인들이 너무 힘들어하고 있다. 2년째 이러고 있는데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은 '밀접접촉자'라고 문자를 받으면 바들바들 떨고 24시간 내지 이틀 동안 힘든 생활을 하며, 동선 파악으로 회사와 식당이 폐쇄되는 등 정확한 핀셋 동선 파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대안으로 이 의원은 "현장PCR검사를 도입해 신속하고 쉽게 하는 것"이라며 "여주시는 신속하게 현장에서 검수 검사하고 두 시간 내에 결과를 알려주어서 확산을 조기에 차단하고 있다"며 "여주시의 시약과 검사 장비를 모두 식약처를 통과했다. 그래서 이것을 수탁 기관으로 여주시를 지정하게 되면 이 사례는 전국적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코로 하면 그 아이들이 굉장히 두려워하고 힘들어 한다. 그럼 타액 검사로 하면 훨씬 더 편안하고 쉽고 할 수 있다. 또 자주 할 수도 있다. 현재 여주시와 키스트(KIST)에서 하고 있다"며 "현재 국가 지정 기관에 200개의 샘플을 조사를 마쳤고, 특이도 민감해서 모두 정확성이 높다는 것이 확인됐다. 금주 중에 식약처에서 신청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리고 "현재는 다섯 개를 묶어서 검사하는 풀링 시스템을 하고 있는데, 만약에 이것을 열 개로 묶어서 하면 훨씬 더 많은 양을 빠르게 검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며 "지난 17일 여주시장,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한국체육대학교 총장 등은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만나 일선 학교에 현장 PCR검사 도입 방안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이 의원은 "여주시는 경제활동 참가율. 고용률. 실업률 등 경제가 다운되지 않았다. 현장PCR검사를 통해 교도소나 군부대 이런 문제를 다 해결했다. 아울렛과 오일장도 정상적으로 운영된다"며 "여주시처럼 해달라는 것이다. 시범 도입해 비용과 시간도 줄이고 국민들이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폭넓게 열어주면서 민생과 방역에 함께 전진했으면 좋겠다. 우리는 대전환의 결단이 필요한 시기"라고 거듭 요청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오미크론의 확산 속도가 빠르고 치명률이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고 있다. 이에 정부도 방역 방향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방역 방식도 기존의 방식보다는 유연하게 일상생활을 정리하면서 스마트하게 디지털 정보기술들을 활용해서 대응해 나가자"고 촉구했다.
여주/양동민기자 coa007@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