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7일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과 관련, '안전'이 올 한 해 산업현장에서 최우선의 가치로 정착돼 산업재해 사망사고가 획기적으로 감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989년 고용노동부에 첫발을 디딘 후 근로감독, 산업안전, 직업훈련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 정통 '고용노동맨'인 김덕곤 고용노동부 평택지청장은 새해 포부를 이같이 밝혔다.
김 청장은 중대재해처벌법과 관련해 "중대 재해 예방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기업이 '안전'을 기업 경영의 중심에 두도록 하는 것이 이 법의 취지"라면서 "이 법을 계기로 기업이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기업 현장에 찾아가 사업주에게 직접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컨설팅 등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 평택지청은 지난달 13일 전국에서 처음으로 평택지청, 검찰, 안전보건공단 합동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사업주들에게 안전체계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안내하고 있다.
평택·오산·안성 등 인구 급성장 고려
전국 최초 검찰 등 합동 설명회 개최
'AI 면접 컨설팅' 채용·취업 촉진도
김 청장은 "평택지청이 관할하고 있는 평택, 오산, 안성 등 3개 지역은 2011년 인구 80만명에서 10년 만에 103만명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평택의 경우 삼성반도체 평택공장, 고덕 개발 등이 본격화되면서 10년간 인구가 43만명에서 59만명으로 도시 규모가 35.9% 급성장했다"며 "이에 따라 행정수요 증가는 물론 크고 작은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가 사고 없이 일할 수 있도록 안전한 일터 조성에 전 직원들이 땀을 흘리고 있다"고 했다.
그래서인지 지난해 1월1일 부임 이후 김 청장은 수시로 건설 현장을 직접 방문하고 있다.
그는 "현장 출동 이유는 경각심을 주는 동시에 산재 예방을 위해 노력하는 직원들을 응원하는 의미"라면서 "아직도 일부 사업장에서는 안전모 미착용 등 안전수칙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다. 작업 현장에서 '안전' 중심이 '기본'이 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지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일자리 문제에 대해 김 청장은 "채용 인원이 늘고는 있으나 구인기업은 필요 구직자를 찾기가, 구직자는 원하는 회사에 취업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그는 "올해 신설된 청년 일자리 도약장려금(청년 1인당 연 최대 960만원), 고용촉진장려금(1인당 연 최대 720만원) 등 지원제도를 활용하고, 평택지청이 지난해 전국에서 최초로 실시했던 AI 면접 컨설팅을 적극적으로 제공해 채용과 취업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끝으로 김 청장은 "산업 현장의 파수꾼으로서 역할을 다 할 것"이라며 "일하는 근로자들의 권익 보호와 항상 열린 자세로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겠다. 근로자가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겠다"고 말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