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해양수산부의 '평택항 2종 항만 배후부지 개발 면적 축소'(3월8일자 8면 보도=2종 항만 배후부지 '개발 축소'… '평택항 홀대' 분노한 지역사회) 추진과 관련한 심상치 않은 지역사회 분위기에 평택시가 강경 대응 방침을 밝혀 주목된다.
앞서 2000년대 초 '평택항 매립지 소유권'을 놓고 평택시와 충남 당진시 간 벌어진 20여 년간의 분쟁·갈등과 이번 2종 항만 배후단지 개발 면적 축소가 겹쳐 보인다며 지역사회에서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더불어 '평택항 홀대론', '평택 배제론' 등도 확산되고 있다.
이에 그동안 상황을 지켜봤던 평택시가 강력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시는 최근 "개발면적 축소를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은 확고하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반응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보통 항만을 끼고 있는 지자체가 해수부와 각을 지지 않으려 하는 점으로 비춰볼 때, 시가 평택항 발전을 위해 이제부터 목소리를 내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해수부 추진 관련 '강경 대응' 방침
통상 각 안 세우려는 데 '이례적'
시는 평택항이 1986년 개항 이래 현재 총 화물처리량 1억t 이상(전국 5위), 컨테이너 화물처리량 90만TEU 이상(전국 4위) 등 짧은 기간 동안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뤄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항만 배후도심지와 개발·주거시설 및 의료·상업시설 등 도시기반시설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평택항이 근무 기피 항만이 돼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타 항만대비 높은 인건비로 항만 경쟁력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평택시 해안선은 남양호에서 평택호까지 전 구간이 LNG기지·해군 2함대 등 중앙 정부의 산업·안보 정책에 모두 편입, 보안·통제구역으로 지정돼 해양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이 접할 수 있는 해안공간은 전무하다고 덧붙였다.
도시기반시설 없어 인력확보 난항
항만 경쟁력 높이기 사업 무산 우려
이에 시는 2013년 해양수산부의 2종 항만배후단지 도입과 항만기본계획의 평택항 육성방향(시민 문화공간 확충을 통한 해양·관광 항만 기능 확대)을 근거로 2015년부터 개발계획을 수립, 사업시행자 선정 등에 나섰고 이후 시는 민간사업자와 협의하면서 사업의 안정성을 확보해 왔다.
하지만 해수부와 사업제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개발 면적이 축소된다면 항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7월부터 해수부와 사업비 조정, 기반시설 계획 변경 등을 협의해 왔다. 이런데도 이를 무시하고 개발 면적이 축소되면 특단의 조치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혀 개발면적 축소를 놓고 양측의 충돌이 예상된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