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강화군과 옹진군이 '인구감소지역'에서 벗어나려면 인구 유입과 재생산이 활발해져야 한다. 지역 인구 유입 요인은 단연 '일자리'이며, 인구 재생산 요인은 '출산·육아·교육 여건'과 관련이 깊다. 특히 이동이 많은 청년층 인구가 모여 정착할 수 있어야 지역의 인구가 늘어날 수 있다.
강화군·옹진군은 수도권 도심보다 청년이 많지 않다. 2020년 인구총조사 기준 강화군과 옹진군의 청년층(20~39세) 인구비율은 각각 15.5%(1만280명)와 22.6%(4천379명)로 인천시 전체 비율 27.9%(82만2천988명)보다 낮다. 서울시는 전체 인구 가운데 청년층 인구가 31%(297만9천543명)에 달한다.
강화군·옹진군은 청년들이 정착하거나 아이를 낳아 기를 여건이 열악하다고 하는데, 이들 지역에 사는 '청년 활동가'와 '육아맘' 얘길 직접 들어봤다.
"생계 이외의 일상 보낼 매력 없어"
강화 청년몰 5년만에 문 닫아
"영어유치원 같은 교육 인프라 부족"
영흥에서 의정부로 아이 유학
강화군 이주청년그룹 '협동조합 청풍'에서 활동하는 김선아(32)씨는 청년이 강화도에서 오래 머물기에 부족한 점이 많다고 했다. 김씨는 "강화군의 창업관련지원제도가 없지는 않고 주택도 충분하다"면서도 "청년들이 강화 주민으로 자리를 잡고 살아갈 수 있는 여러 인프라가 많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강화도에서 청년이 생계를 꾸리려면 창업 말고는 뚜렷한 방법이 없다고 한다. 강화도에서 태어났거나 다른 지역에서 이주한 청년 대부분은 카페나 음식점, 소품 가게 등을 차려 경제활동을 한다. 강화군은 수도권정비계획법상 규제로 산업단지, 공공기관, 대학 등 일자리를 창출할 거점시설 입지가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직접 규제뿐 아니라 비수도권 지역이 받는 각종 지원사업이나 세제 혜택에서도 소외돼 기업 입장에서는 투자할 만한 가치가 크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강화군은 청년 창업을 돕고자 2017년 4월 강화읍 중앙시장에 청년몰을 조성했고 개장 초기 점포 20개가 입주했다. 하지만 2년 만에 점포 9개가 떠났다. 코로나19 발발 이후 나머지 점포들도 문을 닫으면서 올해 1월 폐장했다.
김씨는 "장사가 잘된 점포는 잘된 대로, 안된 점포는 안된 대로 강화도에 남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며 "청년들이 생계 이외에 일상을 보내기에 강화는 그리 매력적이지 않다"고 했다.
문화예술 등 여가생활을 즐길 만한 인프라가 부족하고, 이주한 청년들이 어울릴 만한 공간도 딱히 없다는 게 김씨 얘기다. 여가를 보내려면 강화도 밖으로 나가야 하는데, 불편한 대중교통 탓에 만만치가 않다.
김씨는 "주거나 생계는 해결할 수 있어도 사람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생태계는 아니기에 청년들이 고립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옹진군 영흥도 주민 권미정(43)씨는 6살 아들을 경기도 의정부에 있는 영어유치원에 보냈다. 자녀가 영어에 흥미를 느끼는 걸 알게 됐지만, 영흥도에선 마땅히 가르칠 곳이 없었다.
권씨는 "영흥도에는 원어민 강사가 있는 유치원 자체가 없어서 가족의 도움을 받아 다른 지역에서 유치원을 보내고 있다"며 "초등학교는 영흥에서 다닐 예정인데, (영어학원 등) 도시에선 당연히 누리는 교육 인프라가 부족해 걱정"이라고 말했다.
아이들이 놀 곳도 많지 않다고 한다. 권씨는 자녀 교육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할 생각도 있다고 했다. 그는 "재미있는 교구를 갖춘 키즈카페나 창의력을 계발하는 놀이시설이 도시엔 널렸는데 영흥도엔 없다"며 "아이가 산과 바다 같은 자연을 누릴 수 있어 좋지만, 교육환경이 문제"라고 했다.
/유진주·한달수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