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부의 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 축소 추진(3월28일자 8면 보도=평택항 배후단지 '축소' 논란… 민간사업자 '법적 조치' 가나)과 관련, 평택시가 '기존 개발면적 유지' 입장을 확고히 했다.
시가 해수부의 개발면적 축소 추진 방침에 제동을 건 셈이다. 시는 개발면적이 183만8천㎡에서 59만5천㎡로 현재 대비 약 32%로 축소되면 계획적 개발이 어렵다는 판단이다.
시가 해수부의 개발면적 축소 추진 방침에 제동을 건 셈이다. 시는 개발면적이 183만8천㎡에서 59만5천㎡로 현재 대비 약 32%로 축소되면 계획적 개발이 어렵다는 판단이다.
현재 대비 32% 축소되면 계획적 개발 곤란 판단
해수부에 기존 면적 유지 요청건의서 제출 예정
정장선 시장은 30일 언론 브리핑에서 "이 사업은 2015년부터 해수부의 지원·협조 아래 추진된 사업이고 여러 보완사항을 이행한 사업참여자가 확보돼 있다"며 개발면적 축소 추진을 우회적으로 지적했다. 그러면서 "갑작스런 개발면적 축소 추진은 국가정책의 일관성, 행정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우려스럽다. 해수부에 기존 면적 유지 요청 건의서를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가 해수부에 맞서 기존 면적 유지를 들고 나온 이유는 인천 신항 등 국내 항만 배후단지 개발과 관련해 평택항이 유독 타 항만에 비해 차별을 받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타 항만 배후단지 개발의 경우 매립부터 사업자가 시행하는 계획인데 반해 평택항 배후단지는 '사업자 매립 가능'이었다가 '매립 전까지 사업 불가' 등 수시로 개발방식이 변경돼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해수부가 '처음부터 개발사업에 대해 부정적 선입견을 갖고 여러 차례 사업 변경 등을 요구하면서 지연시킨 것 아니냐', '면적 축소는 이미 예견됐던 것'이란 여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시는 평택항의 열악한 정주 여건 개선 및 공동화 현상 해소를 위한 항만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존 개발면적은 반드시 유지돼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며 한 치도 물러설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한편 해수부의 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 개발면적 축소 추진을 강력 반대하고 있는 지역정치권과 시민단체들은 조만간 해수부를 방문, 항의 시위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해수부에 기존 면적 유지 요청건의서 제출 예정
정장선 시장은 30일 언론 브리핑에서 "이 사업은 2015년부터 해수부의 지원·협조 아래 추진된 사업이고 여러 보완사항을 이행한 사업참여자가 확보돼 있다"며 개발면적 축소 추진을 우회적으로 지적했다. 그러면서 "갑작스런 개발면적 축소 추진은 국가정책의 일관성, 행정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우려스럽다. 해수부에 기존 면적 유지 요청 건의서를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가 해수부에 맞서 기존 면적 유지를 들고 나온 이유는 인천 신항 등 국내 항만 배후단지 개발과 관련해 평택항이 유독 타 항만에 비해 차별을 받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타 항만 배후단지 개발의 경우 매립부터 사업자가 시행하는 계획인데 반해 평택항 배후단지는 '사업자 매립 가능'이었다가 '매립 전까지 사업 불가' 등 수시로 개발방식이 변경돼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해수부가 '처음부터 개발사업에 대해 부정적 선입견을 갖고 여러 차례 사업 변경 등을 요구하면서 지연시킨 것 아니냐', '면적 축소는 이미 예견됐던 것'이란 여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시는 평택항의 열악한 정주 여건 개선 및 공동화 현상 해소를 위한 항만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존 개발면적은 반드시 유지돼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며 한 치도 물러설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한편 해수부의 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 개발면적 축소 추진을 강력 반대하고 있는 지역정치권과 시민단체들은 조만간 해수부를 방문, 항의 시위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