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는 개발 면적을 축소할 게 아니라 (면적을)더 확대해 항만 관련 산업 집적화를 이뤄내 평택항의 경쟁력을 점점 높여가야 합니다."
평택시의회가 해양수산부의 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 개발 면적 축소 추진(3월31일자 9면 보도="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 면적 유지돼야" 평택시, 해수부 축소 추진 반박) 움직임에 '평택항의 성장에 발목을 잡지 말라'고 경고하고 나섰다.
시의원 16명 전원, 반대 성명 발표
근무기피 항만돼 경쟁력 저하 주장
현행유지 또는 확대 해수부에 요구
의회는 지난 1일 의회 본관 앞에서 의원 16명 전원이 참여한 가운데 '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 개발면적 축소 추진 반대' 성명을 발표했다. 지난달 31일 평택항을 현장 확인한 일부 의원들은 기존 개발면적 유지가 아닌 '확대'를 강력히 요구해야 한다고도 목소리를 높였다.
의원들은 "평택항은 현재 부산항, 인천항 등과 달리 항만 배후도심지 없이 개발돼왔다"며 "항만종사자들이 원룸 외에는 주거시설 선택지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료 및 상업시설 등도 없어 근무 기피 항만이 된지 오래며 인천항 대비 2만~3만원 높은 1인당 인건비로 항만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들은 "평택항이 현재 '도시공간과 단절된 고립 항만'이란 이미지에 휩싸여 있는데 해수부가 이 같은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2종 항만 배후단지는 업무, 판매 주거, 의료, 교육연구, 문화, 관광 휴게, 위락시설 등을 도입해 배후에서 항만을 지원하는 기능'이라고 정의했다.
이런데도 개발면적 183만8천㎡가 59만5천㎡로 크게 축소되면 면적이 적어 항만 관련 집적화도, 고립항만 이미지 개선도 이뤄낼 수 없다고 날 서게 비판했다.
의원들은 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 면적 현행 유지 또는 확대, 평택시가 2015년부터 추진해 온 이 사업의 정상적 추진 지원을 해수부에 요구했다.
한편 지난달 31일 오후 해수부 관계 공무원이 평택항을 방문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지역의 화난 여론을 직접 확인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소문이 돌고 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