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좌초됐던 평택 현덕지구 개발사업(1월20일자 1면 보도=평택 현덕지구 개발 '또 원점으로'… 대구은행 컨소시엄에 사업협약 해지통보)이 재추진될 전망이다.
평택시는 10여 년간 사업추진 지연에 따른 지역 주민의 고통을 공감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경기경제자유구역청과 함께 주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평택시는 10여 년간 사업추진 지연에 따른 지역 주민의 고통을 공감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경기경제자유구역청과 함께 주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평택시 "정상화에 행정력 집중"
공공부문 직접 참여 방암 검토
그러면서 사업의 조속한 정상화를 위해 공공부문에 직접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고 강조했다. 현덕지구 개발사업의 정상 추진 의지를 우회적으로 밝힌 셈이어서 주목된다.
시에 따르면 지난 1월 현덕지구 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경기주택도시공사(GH)와 평택도시공사는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던 대구은행컨소시엄에 보상협의 개시 등 협약조건 미이행 사유로 사업협약 해지를 통보했다. 현재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이 우선협상대상자 취소를 위한 청문 등 행정 절차를 진행 중에 있다고 시는 밝혔다.
이와 관련 시는 현덕지구의 정상 추진을 위해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이 우선협상대상자 취소 청문 등의 행정절차를 조속히 마무리해주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 향후 현덕지구 추진계획 등 의사결정 전 사전협의 및 민간부문 재공모 시 건실한 기업이 참여될 수 있도록 상호 협력을 다해줄 것도 건의하는 등 현덕지구 개발 사업 추진 의지를 내보였다.
시 관계자는 "사업의 장기화로 인한 재산권행사 제약으로 고통받고 있는 주민피해 최소화 및 서부지역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현덕지구의 신속한 정상화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11년 경기도와 황해경제자유구역청(현 경기경제청), 평택시, 중소기업중앙회는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장수리 일대 231만6천㎡ 현덕지구를 '중소기업 특화단지'로 개발하기로 했다. 그러나 2013년 중소기업중앙회가 '사업성이 없다'며 손을 뗀 이후 사업시행자 지정·취소,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좌초 등의 공전을 거듭해왔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
그러면서 사업의 조속한 정상화를 위해 공공부문에 직접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고 강조했다. 현덕지구 개발사업의 정상 추진 의지를 우회적으로 밝힌 셈이어서 주목된다.
시에 따르면 지난 1월 현덕지구 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경기주택도시공사(GH)와 평택도시공사는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던 대구은행컨소시엄에 보상협의 개시 등 협약조건 미이행 사유로 사업협약 해지를 통보했다. 현재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이 우선협상대상자 취소를 위한 청문 등 행정 절차를 진행 중에 있다고 시는 밝혔다.
이와 관련 시는 현덕지구의 정상 추진을 위해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이 우선협상대상자 취소 청문 등의 행정절차를 조속히 마무리해주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 향후 현덕지구 추진계획 등 의사결정 전 사전협의 및 민간부문 재공모 시 건실한 기업이 참여될 수 있도록 상호 협력을 다해줄 것도 건의하는 등 현덕지구 개발 사업 추진 의지를 내보였다.
시 관계자는 "사업의 장기화로 인한 재산권행사 제약으로 고통받고 있는 주민피해 최소화 및 서부지역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현덕지구의 신속한 정상화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11년 경기도와 황해경제자유구역청(현 경기경제청), 평택시, 중소기업중앙회는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장수리 일대 231만6천㎡ 현덕지구를 '중소기업 특화단지'로 개발하기로 했다. 그러나 2013년 중소기업중앙회가 '사업성이 없다'며 손을 뗀 이후 사업시행자 지정·취소,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좌초 등의 공전을 거듭해왔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
지금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