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류역사에서 전쟁은 끊이질 않았다. 오늘날에도 한 국가 안에서 일어나는 내전부터 국가 간 전면전까지 크고 작은 전쟁이 전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양국 간 전쟁이 발발했다. 모든 전쟁이 그렇듯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국민들의 평화로운 일상을 완전히 무너뜨렸다. 우크라이나에서는 무고한 민간인 희생자와 피란민이 속출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앞서 비슷한 비극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인천의 이주 여성들을 움직이게 했다. 전쟁 반대와 평화의 목소리를 전하기 위해 펜을 든 것이다.
암나씨, 수단 군부 쿠데타이후 반정부 시위 갈등 국회앞 규탄 집회도
이주인권센터 '사랑방 역할' 글 연재 "모든 아이가 행복하게 살기를"

인천에 정착한 이주여성 도아(36·이라크)씨는 2015년 가족과 함께 모국인 이라크를 떠나 한국에 왔다. 이 가족이 정든 고향 땅을 떠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다름 아닌 전쟁이었다. 도아씨는 대학생 때 학교에 폭탄 테러가 일어나 친구들이 목숨을 잃는 참혹한 광경을 목격하기도 했다.
그가 조국을 떠나기로 결심할 무렵 이라크에서는 이슬람 종파 간 갈등이 내전으로까지 번지고 있었다. 반대 종파의 사람을 서로 죽이고, 폭탄 테러가 벌어지는 것이 일상이 됐다.
절망적인 삶이 이어지던 중 전쟁의 위협은 도아씨에게도 미쳤다. 반대 종파 사람들이 그의 집 외벽에 '죽고 싶지 않으면 집을 떠나라'는 글을 남긴 것이다. 공포에 떨던 도아씨는 남편, 어린 자녀와 함께 쫓기듯 한국으로 향했다.
![[이슈]'전쟁 종식, 평화 촉구' 펜을 든 인천 이주 여성2](https://wimg.kyeongin.com/news/legacy/file/202204/2022041401000572100027021.jpg)
남편의 사업으로 2009년 가족과 함께 인천에 터를 잡은 또 다른 이주여성 암나(40·수단)씨에게도 전쟁은 남의 일 같지 않다. 수단에서는 지난해 10월 군부 쿠데타가 일어난 이후 반정부 시위가 이어지는 등 갈등이 격화하고 있다. 심지어 수단 군부가 쿠데타에 저항하는 민간인들에게 총격을 가하는 극단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암나씨의 가장 큰 걱정은 수단에서 지내는 부모님과 형제들의 안전이다. 혼란스러운 정세에 살인, 강간 등 온갖 범죄가 벌어지고 있어 외출조차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가족의 소식을 접할 때면 암나씨는 마음 편히 잠을 잘 수가 없다.
수단 내 분쟁이 하루빨리 끝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암나씨는 지난해 11월 한국에 머물고 있는 자국민들이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개최한 군부 쿠데타 규탄 집회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슈]'전쟁 종식, 평화 촉구' 펜을 든 인천 이주 여성](https://wimg.kyeongin.com/news/legacy/file/202204/2022041401000572100027023.jpg)
인천 연수구에 있는 이주인권단체인 한국이주인권센터는 최근 홈페이지에 '전쟁 종식과 평화를 촉구하는 오아시스 와하 여성들의 목소리'라는 연재를 시작했다.
인천의 이주여성들이 전쟁 종식과 평화를 바라는 마음을 간절히 담아 직접 쓴 글을 읽을 수 있다. 연재에 참여한 이들은 모두 12명. 도아씨, 암나씨 등 전쟁을 경험한 적이 있는 이주여성들이다. 이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펜을 들었다.
도아씨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켜보며 자기 일처럼 슬펐다고 한다. 전쟁이 일어나는 곳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생사를 오가는 전쟁터에서 살아가는 이들은 "불안, 슬픔, 상실, 절망 등 모든 부정적인 감정이 점점 쌓이면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무너진다"는 게 도아씨의 이야기다.
자신도 마찬가지였다는 그는 전쟁을 경험한 사람들이 얼마나 고통스러운 삶을 살고 있는지를 알리고 싶어 글을 썼다고 한다.
도아씨는 "이라크를 떠난 지 7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으나 지금까지도 전쟁의 고통이 생생하게 떠올라 '행복'이라는 감정을 제대로 느끼지 못한다"며 "내가 겪은 경험과 감정을 많은 사람과 공유하면서 전쟁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모으고 싶다"고 말했다.

암나씨도 그의 조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전쟁으로 고통받고 있는 이들의 불행한 삶이 하루빨리 끝나길 바라는 마음을 글에 담았다. 그가 전쟁에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아이들이다.
누구보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자라야 하는 아이들은 전쟁으로 인해 기본적인 의식주조차 해결하지 못하고, 제대로 된 교육도 받지 못한다. 이러한 소식을 들을 때면 암나씨는 마음이 찢어질 듯 아프다고 했다.
그는 "전쟁과 갈등이 일어나지 않는 평화로운 세계를 원한다"며 "모든 아이가 자신의 나라에서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한국이주인권센터의 '전쟁 반대, 평화 기원' 연재도 오아시스 와하에서 활동하는 이주 여성들이 하나하나 쓴 글이 모여 시작됐다.
![[이슈]'전쟁 종식, 평화 촉구' 펜을 든 인천 이주 여성3](https://wimg.kyeongin.com/news/legacy/file/202204/2022041401000572100027025.jpg)
한국이주인권센터 박정형 사무국장은 "인천의 이주여성 중에는 우리나라로 피난 온 난민이 많다. 이들은 전쟁의 참혹함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며 "이번 연재를 시작으로 이주여성들이 국제사회에 평화를 기원하는 목소리를 낼 일이 생긴다면 적극 동참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이주인권센터 홈페이지(www.wahha.net)에서 연재 중인 '전쟁 종식과 평화를 촉구하는 오아시스 와하 여성들의 목소리'는 2주에 한 번씩 글이 올라올 예정이다.
/김태양기자 ksun@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