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사회포럼4
14일 오후 경인일보 대회의실에서 열린 미래사회포럼에서 정하웅 카이스트 석좌교수가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2022.4.14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정하웅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석좌교수가 14일 오후 경인일보 대회의실에서 열린 미래사회포럼 강연자로 나섰다.

정 교수는 정치, 경제, 사회 등 모든 분야가 매우 복잡한 구조 속 다양한 현상들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거론했다. 인체만 해도 복잡다단하게 구성돼 여러 현상이 나타나는, 무궁무진한 연구 대상이다. 이처럼 매우 많은 요소가 복잡하게 얽히고 설켜, 다양한 현상을 빚어내는 체계를 '복잡계'로 칭하는데 분야를 막론하고 촉망받는 연구 대상이다.

정 교수는 이날 강연에서 자칫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복잡계의 개념을 일상 속 사례 등을 언급하며 알기 쉽게 설명했다. 분야는 다르지만 복합 구조 속 다양한 현상이 발생하는 일을 네트워크 과학으로 접근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점도 부연했다.

 

미래포럼_정하웅.jpeg
14일 오후 경인일보 대회의실에서 열린 미래사회포럼에서 정하웅 카이스트 석좌교수가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2022.4.14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동시에 빅데이터 등 데이터 과학이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구글 등 주요 플랫폼이 데이터를 토대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 네트워크를 파악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는 점 등을 거론했다.

정 교수는 "복잡계는 분야를 막론하고 최대 난제로 거론되는데 네트워크 과학과 더불어 데이터 과학이 이를 풀어갈 방법론으로 주목받으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 교수는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과학기술원 석좌교수이자 건명원 과학 분야 운영 교수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2022041401000621900029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