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6797.jpg
용인경전철 기흥역 승강장 모습. /경인일보DB

용인경전철 노동조합이 10일부터 파업에 돌입한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용인경전철지부는 9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중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재정 악화를 초래하고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용인시-시행사-운영사'의 다단계 민간 위탁 구조를 철폐하라"며 10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용인경전철은 2016년부터 민간투자사업 당사자인 용인경전철(주)가 민간 기업인 네오트랜스(주)에 운영·유지·보수 등을 위탁해 운영되고 있다.

市-시행-운영사 위탁 구조 비판
"재정악화·시민안전 위협" 주장
고장이나 민원 대응 차질 빚을듯

노조는 철도사업이 부가가치세 비과세 대상임에도 별도의 민간운영사가 존재해 불필요한 부가세 부과로 혈세가 낭비되고 있다며 시행사 직영 방식을 요구하고 있다. 또 기형적인 위·수탁 구조 탓에 수탁업체는 수익 확대에만 치중, 노동자 처우가 열악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노조 관계자는 "우리는 승진 제도가 없어 명칭만 사원, 대리, 과장, 차장, 부장으로 불릴 뿐 직급 수당도 받지 못한다"며 "임금 체계조차 없어 회사 사정이 나쁠 때 입사한 직원들은 후배보다 임금을 적게 받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이에 노조는 기본급 정액 30만원 인상, 승진제도 도입에 따른 기본급 10% 일괄 인상, 교통비 등 수당 신설, 미지급 성과급 300만원 지급, 인력 충원으로 4조 2교대 시행, 임금 저하 직원 19명 임금 현실화 등을 임금·단체협상안에 담았다.

그러나 사측은 기본급 정액 10만원 인상과 성과급 100만원 지급 등을 노조에 제시한 상태여서 양측은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다음 달 중 경전철 운영 방식 개선 용역 결과가 발표되면 재정 여건 등을 검토해 내년 7월 만료 예정인 위·수탁 운영 계약 연장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며 "노조 파업기간 동안 시민 불편이 없도록 대체 교통수단 등의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용인경전철은 필수 인력 유지 의무가 있는 공공사업장이어서 노조의 파업에도 최소 74명의 직원이 투입돼 정상 운행될 예정이다. 다만 운행 중 고장이나 민원 발생시 대응에는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용인/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