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문화정책이 인프라 확충에 초점을 맞추면서 정작 중요한 콘텐츠 부분을 놓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문화계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인프라 확충도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지만, 콘텐츠와 운영방식에 대한 고민이 보완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받고 있다.
경기문화재단은 민선 8기 경기도 문화예술 4대 정책 목표, 10대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이 가운데 '문화로 품격 있는 경기도민'을 정책 목표로 ▲가깝고 쉽게 만나는 15분 생활권 시민문화공간 확충 ▲내 삶을 아름답게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실현이라는 두 가지 정책 목표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15분 생활권 문화공간' 조성 확충
"거점 생겨도 알맹이 없으면 무용"
우선 15분 생활권 시민문화공간은 단순히 공간적 의미를 담고 있는 주제가 아니다. 도내 몇 개의 공간이 있고, 얼마나 더 필요한가에 대한 수량적 질문이 아니라 공간조성이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일상에 어떤 변화를 이끌어낼 것인가에 대한 충분한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김진희 경기문화재단 지역문화실장은 "문화거점이 만들어져도 운영비 수급이 이뤄지지 않거나 지역 맞춤형 콘텐츠가 담기지 않는다면 사실상 재원 손실에 불과하다"며 "정보가 넘치는 사회에서 시민들의 문화 수준은 높아졌는데 알맹이 없는 숫자에만 집중해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시민문화공간의 직원들은 순환보직제를 적용받다 보니, 오랜 논의를 거쳐 시민들과 목표에 대해 합의를 해도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가는 경우가 많다는 게 현장의 비판이다. 직원 처우개선과 함께 문화 콘텐츠의 방향이 연계성을 갖도록 충분한 준비 과정이 보장돼야 한다는 것이다.
'생애주기별 문화예술 교육' 목표
"고령화·차별 등 사회문제 역할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예술계의 오랜 고민도 정책제안과 함께 터져 나오고 있다. 경기문화재단과 기초문화재단의 협업이 문화예술교육에서도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광역문화재단이 정책과 재원을 지원하고 기초문화재단이 가지고 있는 현장실행력 등 자산을 활용해야 하는데, 기관 간 관계가 느슨하면 충분한 시너지를 낼 수 없다는 설명이다.
김진희 실장은 "문화는 단순히 그림을 그리고 공연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 치여 돌보지 못하는 자신의 내면을 살피게 하는 것"이라며 "고령화와 각종 차별이 사회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문화예술교육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화예술교육이 효과적으로 진행되도록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화 생산·소비·유통 '거버넌스' 요구도
나아가 문화예술교육뿐 아니라 보다 포괄적인 의미의 협업 체계 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의정부문화재단 소홍삼 문화사업본부장은 "문화협치, 거버넌스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문화의 생산, 소비, 유통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문화생태계라는 광의의 정책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경기문화재단과 경기도문화원연합회, (사)한국예총 경기도연합회, (사)경기민예총, 경기도문화재단협의회 등 도내 문화예술 관련 단체·기관은 최근 수원 경기상상캠퍼스에서 '경기도 문화정책포럼'을 열고 경기도 문화정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