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23010004922_1.jpg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쌓여있는 모습. /경인일보DB
 

"항만 전문가 및 시민 토론회를 통해 제기된 내용을 평택시와 경기도, 해양수산부 등에 알려 대안 마련을 강력히 요구할 것입니다. 평택항은 현재와 미래 평택 발전의 동력이기 때문입니다."

평택지역에서 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 개발 면적 축소 추진 반대 분위기가 확산(4월20일자 8면 보도=해수부 '항만재개발법' 제안에 평택지역 "시간끌기" 비난)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전문가 토론회가 열릴 예정이어서 주목받고 있다.

지역정치권과 평택시 발전협의회·평택항 바로 세우기 운동본부 등 시민단체, 항만전문가들이 오는 7월1일 평택시청 대회의실에서 ‘평택항 배후단지 개발면적 현실화 방안 마련 토론회’를 갖는다.

토론회에는 시의원, 도의원 등도 토론자로 참여한다. 해양수산부 등의 참여 여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이 같은 논란이 토론회를 통해 공론화된다는 점에서 항만 관계 기관들이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축소추진 반대 분위기 지역 확산
정가·시민단체 등 내달 1일 토론회
183만→59만㎡ 타당성 하락 주장


토론회에선 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 개발 면적 축소 추진에 대한 반대 논리가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 면적 183만8천여㎡를 59만5천여㎡로 축소할 경우 타당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이다.

해수부 측 관계자가 참석할 경우 이를 두고 치열한 공방이 벌어질 전망이다. 또한 토론회에선 최근 해수부가 제안한 ‘항만재개발법’ 사업 방식에 대해서도 문제 제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 개발은 '항만법'으로 추진해왔다. 항만법과 항만재개발법은 법률 내용 등에서 비슷하지만 항만재개발법은 시간이 오래 걸려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반면 평택시 등은 항만법을 적용, 추진할 경우 10년 이내에 사업을 완료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어 해수부 측과 토론회 참석자들 간 사업 방식 변경 추진을 놓고도 불꽃이 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시민단체들이 해수부가 최근 추진 중인 '평택·당진항 종합발전계획 수립 용역'의 과업이 충남 당진 측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양 측간 공방이 오고 갈 계획이어서 주목된다.

지역정치권과 시민단체들은 "개발 면적 축소도 사업방식 변경도 추진하지 말고, 본 목적대로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 토론회에서 여러 부당성 등을 적극 제기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