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년 만에 안산시장실을 탈환한 국민의힘이 시정 및 당의 역할 강화를 위해 공석인 안산상록갑과 을의 당협 조직위원장을 공모(6월7일자 4면 보도=국힘, '지방선거 공석' 경기 19·인천 3곳 당협 조직위원장 공모)한 가운데 앞서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가 '국회의원 동일 지역구 3선 초과 제한'을 발의하면서 안산상록갑 지역이 1년10개월 뒤 총선을 앞두고 벌써부터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그동안 안산상록갑은 행정안전부 장관을 지낸 더불어민주당 전해철 국회의원이 3선을 통해 굳건히 지켜온 지역이지만 3선 초과 제한이 적용될 경우 민주당도 새 인물을 찾아야해 국민의힘측에서는 해볼만한 승부처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안산상록갑은 행정안전부 장관을 지낸 더불어민주당 전해철 국회의원이 3선을 통해 굳건히 지켜온 지역이지만 3선 초과 제한이 적용될 경우 민주당도 새 인물을 찾아야해 국민의힘측에서는 해볼만한 승부처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민주 지역구 3선 초과 제한 변수
경기도의원 지선서 기득권 내려놔
국힘, 적용땐 해볼 만한 승부처로
12년만에 시장 탈환 시정균형 필요
14일 안산 지역 정가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17일까지 안산상록갑과 을에 대한 당협위원장 신청 서류를 접수 받는다. 지방선거 출마 등으로 공석이 된 자리를 채우고 특히 국민의힘 이민근 안산시장 당선인과의 협치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은 안산시장직을 12년 만에 되찾았지만 현재 4개 국회의원 지역구는 모두 민주당이 차지하고 있어 시정을 이끌기 위해서는 균형이 시급하다.
문제는 안산상록갑의 전해철 의원과 안산상록을의 김철민 의원의 아성이다. 국민의힘의 새 당협위원장이 총선에서 겨뤄야 할 상대들이 만만치 않다.
김 의원은 민선 5기 안산시장을 지냈고 2020년 총선에서 재선에도 성공하는 등 지역에서의 입지가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 의원도 3선의 중진에다가 정부의 요직인 행정안전부 장관을 역임했고 당 대표 후보로까지 거론되는 등 아성 높은 인물이다.
다만 전 의원의 경우 지난 2월 민주당 혁신위원회가 발의한 '국회의원 동일 지역구 3선 초과 제한'이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이럴 경우엔 국민의힘의 기회다.
민주당은 지난 3월 대통령 선거와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혁신을 위해 국회의원이 동일지역구에서 3회 연속 당선됐을 시 후보자로 등록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의 안을 내놓았다. 스스로 기득권을 내놓고 새 인물에 대한 진입의 벽을 낮추기 위해서다.
특히 패배한 대선을 잊고 혁신을 통한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지방의회에 대해 사실상 3선 연임 제한 룰을 적용했다. 이로 인해 안산상록갑에서도 3선의 경기도의원들이 안산시장 예비후보로 출마, 스스로 기득권을 내려놓았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지역의 수장인 국회의원이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하는 만큼 무시하기엔 부담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정 민주당 경기도당위원장은 "혁신안을 그대로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다. 정부 견제를 하는 역할도 국회가 해야하는데 3선이라고 무조건 배제하기보다 심사기준을 차등적으로 적용하는 방안도 있을 것"이라며 "당 지도부가 새로 꾸려졌기 때문에 전체적인 흐름을 보고 상황에 알맞게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14일 안산 지역 정가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17일까지 안산상록갑과 을에 대한 당협위원장 신청 서류를 접수 받는다. 지방선거 출마 등으로 공석이 된 자리를 채우고 특히 국민의힘 이민근 안산시장 당선인과의 협치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은 안산시장직을 12년 만에 되찾았지만 현재 4개 국회의원 지역구는 모두 민주당이 차지하고 있어 시정을 이끌기 위해서는 균형이 시급하다.
문제는 안산상록갑의 전해철 의원과 안산상록을의 김철민 의원의 아성이다. 국민의힘의 새 당협위원장이 총선에서 겨뤄야 할 상대들이 만만치 않다.
김 의원은 민선 5기 안산시장을 지냈고 2020년 총선에서 재선에도 성공하는 등 지역에서의 입지가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 의원도 3선의 중진에다가 정부의 요직인 행정안전부 장관을 역임했고 당 대표 후보로까지 거론되는 등 아성 높은 인물이다.
다만 전 의원의 경우 지난 2월 민주당 혁신위원회가 발의한 '국회의원 동일 지역구 3선 초과 제한'이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이럴 경우엔 국민의힘의 기회다.
민주당은 지난 3월 대통령 선거와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혁신을 위해 국회의원이 동일지역구에서 3회 연속 당선됐을 시 후보자로 등록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의 안을 내놓았다. 스스로 기득권을 내놓고 새 인물에 대한 진입의 벽을 낮추기 위해서다.
특히 패배한 대선을 잊고 혁신을 통한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지방의회에 대해 사실상 3선 연임 제한 룰을 적용했다. 이로 인해 안산상록갑에서도 3선의 경기도의원들이 안산시장 예비후보로 출마, 스스로 기득권을 내려놓았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지역의 수장인 국회의원이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하는 만큼 무시하기엔 부담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정 민주당 경기도당위원장은 "혁신안을 그대로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다. 정부 견제를 하는 역할도 국회가 해야하는데 3선이라고 무조건 배제하기보다 심사기준을 차등적으로 적용하는 방안도 있을 것"이라며 "당 지도부가 새로 꾸려졌기 때문에 전체적인 흐름을 보고 상황에 알맞게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안산/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