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사원이 동인선(동탄~인덕원 간 복선전철) 수요예측 재검토를 요구하면서 의왕지역에서 사업 철회 가능성 등 각종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국가철도공단(이하 공단)이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공단은 14일 동인선 사업 추진과 관련해 "감사원 감사 처분 내용은 동탄도시철도 시행에 따른 '동탄~인덕원 복선전철' 건설사업의 수요예측 재조사 실시 여부를 검토하라는 것으로, 동 사업의 추진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앞서 감사원은 2014년 '동탄트램 미추진'을 전제로 동인선 사업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시켰으나 지난해 9월부터 동탄트램 사업 등이 '동탄 도시철도 건설사업 기본계획'에 반영돼 올해 3월 행정안전부의 지방재정투자심의를 통과했다. 이에 감사원은 지난달 말 타당성 재조사 통과조건의 변화로 '동탄트램 사업 추진'을 꼽으며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에 수요예측 재조사 실시를 각각 통보(6월3일 인터넷 보도='20년 기다림' 동탄인덕원선, 수요예측 재조사 진행할까)했다.
공단은 14일 동인선 사업 추진과 관련해 "감사원 감사 처분 내용은 동탄도시철도 시행에 따른 '동탄~인덕원 복선전철' 건설사업의 수요예측 재조사 실시 여부를 검토하라는 것으로, 동 사업의 추진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앞서 감사원은 2014년 '동탄트램 미추진'을 전제로 동인선 사업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시켰으나 지난해 9월부터 동탄트램 사업 등이 '동탄 도시철도 건설사업 기본계획'에 반영돼 올해 3월 행정안전부의 지방재정투자심의를 통과했다. 이에 감사원은 지난달 말 타당성 재조사 통과조건의 변화로 '동탄트램 사업 추진'을 꼽으며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에 수요예측 재조사 실시를 각각 통보(6월3일 인터넷 보도='20년 기다림' 동탄인덕원선, 수요예측 재조사 진행할까)했다.

감사원의 이 같은 조치에 자칫 사업 취소를 걱정하는 시민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던 때에 공단에서 동인선 추진 의지를 분명히 하면서 불안감 확산은 어느 정도 제동이 걸릴 것이란 관측이다.
공단 관계자는 "당초 사업은 2026년까지이나, 민원 및 관계기관 간 인허가 협의 지연에 따라 계획된 공사기한보다 다소 지연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다만 의왕 권역 내에서 동인선 사업 추진은 진행되고 있지 않다는 의사를 보였다. 이 관계자는 "동인선은 지난해 11월 사업실시계획 승인에 따라 관계기관 인허가를 거치는 등 착공 초기 단계"라며 "동인선 내 과업 범위에 (현) 의왕시는 포함되지 않으며, 월판(월곶~판교선)선 내 의왕시 구간은 현재 미착공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와관련 의왕시는 동인선 12개 공구 중 포일동에 사업장을 마련·운영 중에 있으나 '인덕원~안양수산물도매시장' 등 1공구 사업만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시 관계자는 "계원예대역·오전역·의왕시청역이 각각 들어서는데 이 사업은 모두 2~4공구에서 이뤄진다. 1공구 사업장이 포일동에 마련돼 있는 것일 뿐이고, 의왕시 추진 사업은 1공구 등 사업이 이뤄지면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의왕/송수은기자 sueun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