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지난해 4~12월 한강 하류(고양·파주·김포) 3곳, 강화도 인근 3곳, 인천 연안(영종도 해역) 4곳 등 10곳에서 진행한 '한강 하구 환경기초조사 연구용역'에선 미세플라스틱과 합성머스크화합물이 검출됐다.
미세플라스틱은 5㎜ 미만의 작은 플라스틱으로, 스티로폼이나 페트병 등이 마모되거나 잘게 부서져 생성된다. 합성머스크는 향수, 화장품, 비누, 샴푸, 세제, 방향제 등에 사용하는 인공 향료 성분이다.
10개 지점 해수·퇴적물·어류서 검출
퇴적물 평균 '한강하류 2323개' 최다
장기간 쓰레기 쌓여 심층조사 필요
강화 인근 숭어 미세 플라스틱 357개
전문가 "유해성 여부는 단정 어려워"
미세플라스틱과 합성머스크가 검출됐다는 것은 수질 상태가 좋지 않다는 의미로, 한강 하구 중심부인 '중립수역'의 오염도는 더욱 심각할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그럼에도 한강 하구 중립수역에 대한 환경 조사 및 관리는 민간인 출입 통제 등으로 인해 이뤄지지 않고 있다.퇴적물 평균 '한강하류 2323개' 최다
장기간 쓰레기 쌓여 심층조사 필요
강화 인근 숭어 미세 플라스틱 357개
전문가 "유해성 여부는 단정 어려워"
인천시는 이들 10개 지점에서 해수, 퇴적물, 어류를 채취하거나 채집해 미세플라스틱 검출 여부와 합성머스크 농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해수보다 퇴적물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많이 검출됐고, 어류 체내에서는 최다 300여 개 미세플라스틱이 나왔다.

인천시는 해수와 퇴적물의 경우 각각 1㎥, 1㎏ 기준으로 미세플라스틱이 얼마나 있는지 3차례 조사해 평균값을 냈다. 해수의 경우 강화도 인근이 3.46개로 가장 많았다.
한강 하류는 2.64개, 인천 연안은 1.68개로 조사됐다. 연구용역 수행기관은 한강 하류에 있는 하수처리시설 방류수와 주변 수역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유입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퇴적물 내 미세플라스틱 평균값은 한강 하류 2천323개, 강화도 인근 564개, 인천 연안 962개 등으로 조사됐다. 한강 하류 퇴적층은 오랜 기간 쌓인 쓰레기로 인해 오염이 심할 것이라는 의견이 있어 추후 심층적인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합성 머스크 농도' 하류 가장 짙어
어민들 "10마리중 1~2마리 등 굽어"
이번 연구용역 수행기관은 지난해 5월과 8월 어류를 채집해 아가미와 내장 내 미세플라스틱을 조사했다. 5월보다 8월에 미세플라스틱이 많이 검출됐다. 8월 한강 하류에서 잡은 숭어와 붕어에서 30~81개, 강화도 인근에서 채집한 숭어에서는 357개나 발견됐다.어민들 "10마리중 1~2마리 등 굽어"
이번 연구에 참여한 김창균 인하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이번 조사에서 다량의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됐지만, 유해성 여부를 단정하기는 어렵다"며 "다른 지역에서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조사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어 비교 대상이 마땅치 않다"고 했다. 유해성 여부 등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합성머스크 농도는 한강 하류(2.03㎍/ℓ)에서 가장 짙었으며 강화도 인근과 인천 연안(0.45㎍/ℓ) 등 한강에서 멀어질수록 옅었다.
김창균 교수는 "이번 조사가 한강 하구에서 진행됐지만 (한강 하구 중심부인) 중립수역에선 조사가 이뤄지지 못해 안타깝다"며 "한강 하구 생태계를 복원·관리하기 위해선 중립수역을 포함해 실태조사가 이뤄져야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관리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강 하구에서 조업하는 경기 고양시 어민들은 오염의 심각성을 가장 먼저 인지하는 사람들이다.
고양시 행주어촌계 관계자는 "물고기 10마리를 잡으면 1~2마리는 등이 굽고 아가미가 비뚤어진 기형이거나 피부병을 갖고 있다"며 "신곡수중보 상류 방향으로는 낙차 때문에 한 달에 절반 정도만 바닷물이 들어오는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오염물질이 하류로 빠져나가지 않고 한강을 뒤덮을 때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15년 행주어촌계 조업 구역에서는 포식성이 강한 '끈벌레'의 대량 출몰로 실뱀장어 90%가 폐사하고 녹조 발생으로 물고기가 집단 폐사하기도 했다.
어민들과 환경운동가들은 한강 하구 오염의 여러 요인 중 하나로 '서울 지역에서 배출한 하수'를 꼽고 있는데, 서울시 지방공기업 서울물재생시설공단은 "서울 지역 방류수가 한강 하구 어획 활동에 피해를 준다는 인과 관계가 입증된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정운·김우성기자 jw33@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