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성시의회가 '일죽·죽산면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이 포함된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을 의결함에 따라 생활용수 부족에 시달려온 동부권 주민들의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19일 안성시 등에 따르면 시의회는 최근 폐회한 제201회 임시회에서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을 원안 가결했다.
해당 계획안은 일죽면과 죽산면, 금광면 등 동부권이 주변 환경 변화에 따른 지하수 오염과 고갈 등으로 식수난에 허덕이고 있음은 물론 각종 개발사업 인허가 과정에서 상수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의회 공유재산 관리계획 원안 가결
'일죽·죽산면 농어촌 용수 개발' 포함
공사비 등 총 450억 투입 2024년 준공
광역상수도 수수량 1일 1만400만t 추가
안성 상수도 보급률은 93%에 달하지만 동부권의 상수도보급률은 일죽면 83%, 죽산면 76%, 금광면 73%로 평균치보다 최대 20% 낮은 실정이다.
시는 문제 해결을 위해 충주권 광역상수도 2단계 개발과 연계해 추가로 배분받는 광역상수도를 수수하기 위한 상수도 시설을 확장해 일죽면과 죽산면, 금광면 등 동부권에 물을 더 확보한다는 계획을 골자로 한 '일죽·죽산면 농어촌생활용수 개발' 사업을 추진했다.
해당 사업이 완료되면 충주권 광역상수도 수수량이 기존 1일 1만t에서 1만400t을 추가해 총 2만400t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사업 계획은 공사비 386억원과 감리비 및 부대비 43억원, 각종 용역비 14억5천만원, 토지보상비 6억5천만원 등 총 450억원을 투입해 동부권 곳곳에 배수지 신설과 가압장 증설, 상수관로 연장 등의 사업을 추진해 오는 2024년 12월까지 준공할 방침이다.
시의회 관계자는 "이번 사업이 마무리되면 안정적인 용수 공급량이 확보돼 생활용수 부족으로 불편함을 겪고 있는 주민들의 민원은 물론 용수 부족으로 개발이 어려웠던 아파트와 산업단지 등 각종 개발사업도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안성 상수도 보급률은 93%에 달하지만 동부권의 상수도보급률은 일죽면 83%, 죽산면 76%, 금광면 73%로 평균치보다 최대 20% 낮은 실정이다.
시는 문제 해결을 위해 충주권 광역상수도 2단계 개발과 연계해 추가로 배분받는 광역상수도를 수수하기 위한 상수도 시설을 확장해 일죽면과 죽산면, 금광면 등 동부권에 물을 더 확보한다는 계획을 골자로 한 '일죽·죽산면 농어촌생활용수 개발' 사업을 추진했다.
해당 사업이 완료되면 충주권 광역상수도 수수량이 기존 1일 1만t에서 1만400t을 추가해 총 2만400t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사업 계획은 공사비 386억원과 감리비 및 부대비 43억원, 각종 용역비 14억5천만원, 토지보상비 6억5천만원 등 총 450억원을 투입해 동부권 곳곳에 배수지 신설과 가압장 증설, 상수관로 연장 등의 사업을 추진해 오는 2024년 12월까지 준공할 방침이다.
시의회 관계자는 "이번 사업이 마무리되면 안정적인 용수 공급량이 확보돼 생활용수 부족으로 불편함을 겪고 있는 주민들의 민원은 물론 용수 부족으로 개발이 어려웠던 아파트와 산업단지 등 각종 개발사업도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