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다르크(DARC·Drug Addiction Rehabilitation Center)는 마약 중독 치유재활센터로, 중독자들을 돕고자 지난 2019년 설립됐다.
12명의 중독자들은 2층 규모의 단독주택에 머물며 마약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회복된 마약 중독 경험자인 임 센터장이 마약 중독자들을 돕는다. 입소자들은 각자의 상태에 따라 3개월에서 1년까지 다르크에 머문다.
본인의 의지, 가족의 권유로 다르크에 모인 입소자들은 규칙적인 스케줄에 따라 생활하게 된다.
입소자들은 오전 8시에 기상해 식사, 청소를 한 뒤 다르크 미팅으로 하루를 시작한다. 오후에는 심리교육, 음악치료, 회복교육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진행하는 요일별 회복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규칙적인 생활을 통해 입소자들은 마약에 대한 생각을 잊고 일상에 몰두할 수 있다.
입소자 A씨는 "어디서도 이야기할 수 없는 것들을 여기선 편하게 털어놓을 수 있다"며 "프로그램을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약물에 대한 생각을 할 시간이 줄어든다"고 말했다.
12명 2층 단독주택 머물며 생활
자연스럽게 약물 생각 줄어들어
국내에는 서울, 경기, 부산 3곳에 다르크가 있다. 이중 12명 정원의 경기도 다르크가 가장 규모가 크다. 다르크는 정부 지원 없이 입소자들이 지불하는 한 달 40만원의 입소비와 후원비만으로 운영된다.
마약을 접한 사람 3명 중 1명은 다시 마약을 찾는다. 마약 범죄는 재범률이 40%에 달할 만큼, 중독자들이 스스로 약물의 유혹을 이겨내기 힘들다. 그럼에도 대한민국에 이들을 치료하고 다시 사회로 돌려보낼 '회복 시스템'은 갖춰져 있지 않다. 이에 마약중독은 질병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치료병원·공동체에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중독자들이 처벌 이후 회복할 수 있는 곳은 마약류 전문치료병원과 다르크와 같은 치료 공동체 뿐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환자를 진료하고 있는 치료병원은 전국에 2곳뿐이며 다르크는 정부 지원 없이 후원비 등 민간의 선의에 기대 운영되는 상황이다. 회복할 곳이 없으니 사회로 복귀한 중독자들이 다시 마약을 접하고 중독의 굴레에 빠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최진묵 인천 참사랑병원 마약 중독 상담가는 "올해 보건복지부가 21개 병원에 4억을 지원한다"며 "국가에서 반을 내면 지자체에서 반을 내는데, 지자체에서 예산을 댈 능력이 없다. 4억이 아니라 40억도 모자란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진실 변호사는 "국내에 얼마 없는 다르크도 일본의 재활 센터에서 초기 자금을 마련해줘서 만들어졌다. 국가에서 해야 할 일을 민간에서 온전히 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치료시스템에 대한 지원이 부족한 이유를 인식 부족에서 찾았다. UN은 지난 2016년부터 마약중독을 질병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여전히 마약 중독자들을 환자가 아닌 범법자로만 바라보다 보니, 치료시스템에 대한 지원 역시 부족하다는 것이다.
최진묵 상담가는 "마약중독은 질병인데 법적 처벌이 우선되다 보니 환자들이 다 음지로 숨어버린다"며 "청정국 지위일 때는 약물 억제정책의 효과가 발휘됐지만, 지금은 기하급수적으로 약물 중독자가 늘어나고 있다. 사회의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진실 변호사는 "검거되지 않은 암수율까지 고려한다면 적어도 알려진 것보다 환자가 5배는 많을 것이다. 이것을 고려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그러나 일반인들도 마약을 한 사람을 범법자로만 본다. 자의든 타의든 중독이 되면 환자고, 환자는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인식 개선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치료병원·공동체 예산 투입 목소리
"사회복귀 방점 美·英식 정책 필요"
마약 범죄는 강력범죄로 이어질 확률이 크고, 마약 사범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 만큼 인식의 변화·치료시스템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최진묵 상담가는 "약물 중독의 경우 처음엔 병리적 문제가 있다. 이는 병원에서 해결하고, 생활방식 사고방식은 치료공동체에서 바꿔나가야 중독자들이 사회에 나가서 정상적으로 산다"며 "보건복지부에서 주도적으로 나서 병원, 재활센터를 늘리고 의사·간호사·상담사 등 중독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범진 마약퇴치연구소장은 마약범죄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고려해 판매자와 투약자를 구분해 처벌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소장은 "유통 판매자에 대한 처벌은 지금보다 강화해야 하지만, 중독자들은 범법자인 동시에 환자라는 인식을 갖고 치료를 도와야 한다"며 "마약을 한 뒤 범죄를 일으키면 사회적 손실이 엄청나다. 사회적 비용을 강조하며 치료재활, 사회복귀에 방점을 두는 미국·영국과 같은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자현기자 naturel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