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jpg
18일 오후 남양주시 오남읍 일원에 대규모 폐기물재활용업체 건립을 위한 기초 공사가 진행된 모습. 주민들은 사업추진을 막기 위해 대책위를 구성하는 등 집단 대응에 나서고 있다. 2022.7.18 남양주/하지은기자 zee@kyeongin.com

남양주시 오남읍 일대에 폐식용유 등을 취급하는 대규모 폐기물재활용업체 건립 소식이 알려지자 인근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동종업계의 잇단 사고와 당국이 주민 의견수렴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며 대책위를 구성하는 등 사업 저지를 위한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18일 남양주시와 오남읍 주민 등에 따르면 이달 초 오남읍 일대에서 폐기물재활용업 사업 추진을 위한 A업체의 신청서가 접수됐다. 시는 현재 건축허가 승인을 낸 뒤 폐식용유 취급에 대한 적정성 여부를 검토 중이다.

업체 환경오염방지 계획에도 '안전' 지적
이장협의회 비롯 사회단체장 '긴급회의'
공동대응 위한 주민대책위원회 구성하고
5306명 서명 담긴 청원서 남양주시 제출
국민의힘 당원협의회 '긴급 성명' 불허 촉구


이 사업은 폐식용유를 정제(여과)해 바이오디젤용과 공업용 유지, 동·식물성 유지 제조업체로 출하하는 작업과 폐금속용기류의 파쇄·선별작업을 거쳐 타 재활용업체로 출하하는 작업장 용도다. 일일 처리 예상량은 폐식용유 1일 150t, 폐금속용기류 1일 10t이며 허용보관량은 1천677t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8.jpg
18일 오후 남양주시 오남읍 도로 곳곳에 대규모 폐기물재활용업체 건립을 반대하는 현수막이 걸려있는 모습. 2022.7.18 남양주/하지은기자 zee@kyeongin.com

A업체는 포천시에 위치한 사업장(폐식용유 처리량·150t/일)과 남양주 진건읍 소재 B업체(47t/일) 등을 통합한 대규모 폐기물재활용업체를 건립할 계획이다.

A업체가 발생 폐수 전량 위탁처리, 대기오염방지시설 설치 등 환경오염방지 계획을 밝혔지만 주민들은 안전 문제 등을 들어 반대하고 있다.

사업 예정지 3㎞ 근방에 7만5천여 명의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고 500m 거리엔 초·중등학교, LPG 충전소, 지하철 4호선, 오남천 등이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지난 3월 안산의 한 폐기물처리업체의 유증기 폭발로 인한 노동자 2명 사망, 4월 천안의 한 업체의 비슷한 사고로 1명이 사망한 것과 관련해 안전사고를 우려하고 있다. 또 일일 작업차량 예상 이동량이 78대에 이르고 이들 차량이 초교와 주거지, LPG 충전소 앞을 지나가면서 수질·대기오염 발생 가능성, 안전문제, 교통혼잡 등을 걱정하고 있다.

오남읍 이장협의회를 비롯한 사회단체장은 최근 긴급회의를 갖고 공동대응을 위한 주민대책위를 구성했다. 이들은 주민 의견수렴 제출서 1천845부와 5천306명의 서명이 담긴 건립 반대 청원서를 시에 제출한 상태다. 주민 C씨는 "친환경 폐기물업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미 오남읍 초입에 건설폐기물 재생처리업체가 있는데 주민설명회조차 개최하지 않고 학교와 주거지 코앞에 폐기물업체를 또 조성하는 게 말이 되느냐"라며 "오남은 남양주의 쓰레기통이 아니다. 당장 사업 계획을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해당 사업은 (주민)설명 대상이 아니지만 워낙 규모가 크고 반발이 우려돼 주민자치위원회 회의 때 담당공무원을 통해 해당 내용을 공지했다"며 "최근 반발이 거세져 이를 참작, 꼼꼼하게 법률 검토 과정을 거쳐 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국민의힘 남양주을 당원협의회는 긴급 성명을 통해 오남읍 폐기물재활용업 불허를 촉구했고 소속 시의원들도 사업 승인 불허를 요청하는 의견 제출서를 시에 제출했다. 

남양주/하지은기자 z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