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2801001033400050071.jpg
지난 1일 이재준 수원시장과 이효근 에스디바이오센서 대표가 '본사 및 연구소 이전 투자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2.7.1 /수원시 제공

00_41.jpg
이재준 수원시장의 민선 8기 수원특례시 출범과 함께 '기업유치 활성화' 기대감이 부풀어 오르는 동시에 '기업유치 한계' 우려도 제기된다. 30개 첨단기업 유치라는 1호 공약을 바탕으로 취임 직후 에스디바이오센서 R&D센터 등 투자유치를 이끌어 내고 있지만 결국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공장총량제 등의 문제로 기업유치에 한계가 있고 그 효과마저 미미할 가능성이 크다는 업계의 지적 때문이다.

수정법 때문 R&D센터 위주 투자
공장총량제 때문 생산시설 '불가능'
"수도권 관련 규제 해소가 우선"

이 시장은 취임 첫날이었던 지난 1일 에스디바이오센서와 '본사 및 연구소 이전 투자협약'을 맺었다. 세계적 진단기기 기업인 에스디바이오센서가 경기대학교 인근인 광교지구 도시지원시설 용지에 R&D 센터를 신축하고 본사와 연구소를 이전해 오는 등 투자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지난 6일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MOU(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한 세계 1위 반도체 장비기업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Applied Materials)'도 경기대 수원캠퍼스 부지에 연구개발센터를 신설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세계적 첨단기업들이 민선 8기 출범 이후 연이어 수원에 일부 둥지를 틀기로 하면서 수원시가 경기 남부의 새로운 '첨단기업 도시'로 재탄생할 거란 기대감이 흘러나온다. 하지만 정작 수원지역 기업들 사이에선 새 기업 유치에 한계가 있고 그를 통한 효과까지 매우 미미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022072801001033400050072.jpg
첨단복합단지 조성을 목표로 '탑동지구 도시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수원시 권선구 탑동 일대 사업부지. /경인일보DB

지난 2017년 CJ제일제당이 수원 광교에 조성한 식품·바이오 연구센터 'CJ 블로섬 파크'가 대표적 예다. 4천800억여원을 쏟아부은 관련 분야 국내 최대 연구센터가 수원에 들어섰지만 600여명의 직접고용 효과 말고는 지역 내 다른 연관기업 유치 등이 없다 보니 해당 연구센터에 대한 인지도조차 점차 낮아지는 실정이다.

민선 8기 출범 이후 수원에 새로운 기업 유치 바람을 일으키는 에스디바이오센서와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역시 연구센터 투자 검토에 나서고 있는 수준이 전부다.

이처럼 공장 등 생산시설 신축이 아닌 R&D센터 등의 투자에 그치는 이유는 오랜 기간 수도권을 규제하고 있는 '수도권정비계획법' 때문이다. 공장총량제 때문에 사실상 수원엔 새로운 생산시설을 지을 수 없다. 뿐만아니라 지난 수 년 간 천정부지로 치솟은 땅값 등으로 기존 수원지역 기업들마저 공장 신·증축에 애를 먹고 있는 상태다.

수원의 한 기업단체 관계자는 "수도권정비계획법 문제가 오랜 골칫덩이이고 해결이 어려운 건 자명한 사실"이라면서도 "그럼에도 협력업체 동반유치 및 세수효과 증진 등 진짜 기업 활성화를 이뤄내기 위해선 근본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