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리마을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 마을은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 등의 규제로 인해 낙후된 상태로 1980년대 모습에 머물러 있다. 2022.8.17 연천/오연근기자 oyk@kyeongin.com

2022072801001048500050852
연천군의 주요 현안은 '미래지향적 삶의 질 향상'이다. 현재 연천군민들은 접경지역 규제 등으로 인해 연천군이 수도권이면서도 비수도권보다 삶의 질이 떨어진다고 느끼고 있다. 이에 민선 8기 김덕현 군수는 오랜 문화역사는 보전하고 보다 나은 주민생활 개선을 위해 8개 사업을 주요 현안으로 정하고 추진에 나선다.

8개 사업은 ▲국립현충원 조성사업 ▲지방소멸대응기금활용 사업 ▲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 유치 ▲경원선 전철 연천구간 건널목 존치 ▲제한보호구역 규제법령 개정 ▲초성리 군 탄약고 이전 ▲국가지질공원 교육협력센터 조성 ▲초성·전곡·연천 역세권 개발 등이다.

우선 지난해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에 들어간 신서면 대광리 일원 국립현충원 사업은 국비 980억원을 투입해 93만9천200㎡ 부지에 봉안 및 부대시설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진입로 개설 및 곰기천 소하천 정비사업이 누락돼 내년도 특수상황 지역개발사업비 지원을 중앙정부에 건의한 상태다.

군은 국립현충원이 오는 2025년 들어서면 안보·문화·관광을 연계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 간 균형발전을 도모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인구감소지역에 지원되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이용해 올해(120억원)와 내년(160억원)에 제대군인 정착기회 마련 지원 프로그램 및 연천형 워케이션(휴가지 원격 근무), 식물 바이오 소재 생산거점 구축사업, 청년 다목적 주거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인구 유입 및 지방재정 건실화를 도모하기 위한 제안사업에 선정되길 희망하고 있다.

국비 980억 투입 국립현충원 조성
정전 70주년 기념식 유치등 추진
국가지질공원 교육센터 건립도


내년에 열리는 6·25전쟁 정전 70주년 기념식 유치에도 나선다. 이를 통해 접경지역·DMZ특별연합의 남북교류 거점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남북협력분야 중심도시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경원선 전철 연천구간 건널목의 경우, 전철노선에 따라 폐쇄되는 연천역 구간 5개 건널목 중 구읍(평면형), 연천 북부(육교형) 건널목의 존치를 국가철도공단과 협의 중이며, 1972년 이후 통제보호구역이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지만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로부터 25㎞ 범위인 제한보호구역은 거의 축소되지 않아 지역발전의 장애물인 만큼 법령 개정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초성리 탄약고 지하화는 2014년 국방부와 기부대양여사업을 통한 지하화 협약을 체결했으나 행정안전부 지방재정 투자심사에서 양여 비율 문제로 재검토 통보를 받아 어려움에 처한 상태다. 이에 국방부의 적극적인 역할에 기대를 걸고 있다.

이 밖에 군은 세계지질공원이자 생물권 보전지역인 임진강과 한탄강 일원이 DMZ(비무장지대)와 인접해 있어 환경·지질·역사 등 복합교육이 가능한데도 체류형 교육시설이 전무한 상황이어서, 국립공원공단이 시행할 수 있는 국가지질공원 교육센터 건립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연천/오연근기자 oy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