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 '개발면적 축소·사업방식 변경'을 놓고 평택시와 해양수산부의 대립이 격화(7월4일자 10면 보도=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 사업… 평택시-해수부 '대립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 정치권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市·해수부, 사업 방식 대립 여전
유의동 의원 "현행 면적 유지해야"
오늘 시민 간담회 열고 의견 수렴
2일 유의동 국회의원실에 따르면 유 의원은 지난달 28일 해수부 항만국장 등과 만나 "평택항의 종합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2종 배후단지 축소는 불가하다"며 현행 면적 유지 필요성을 피력했다. 그러면서 2종 배후단지는 경기도 유일의 국책 항만인 평택항 지원을 위한 종합시설로 항만 및 항만 배후단지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개발 계획을 늦춰선 안 된다는 내용도 전달했다.
또한 유 의원은 "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 개발과 관련 해수부와 항만관계자들이 모두 동의하는 사항이다. 다만 사업방식 변경 등은 개발을 추진해 나가면서 추후 협의를 통해 합의점을 찾아가면 된다"고 강조하면서 갈등 해결을 위해 직접 나섰다.

2종 배후단지 개발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시민단체들에 이 같은 내용을 상세히 알린 뒤 의견을 수렴, 해수부에 전달키 위해 3일 시민 간담회를 개최할 것으로 알려져 그 내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재 시와 시민단체들은 해수부의 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 개발면적 축소(183만8천㎡→59만5천㎡)와 항만법에서 항만재개발법으로의 사업 방식 변경 추진에 대해 사실상 사업 포기나 다름없다며 강력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해수부는 "정량 평가를 도입, 2종 면적을 줄여 1종을 확대 개발하겠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항만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해수부가 정량적 분석을 평택항에 적용하는 방법이 잘못됐다. 타 항만은 배후단지와 도심지가 붙어 있지만 평택항은 도시와 거리가 멀어 비교 자체가 무리"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평택을 지역위원회 김현정 위원장도 지난달 4일 국회 소통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해수부에 '평택항 2종 항만 배후단지' 축소 계획 철회를 촉구한 바 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