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1.jpg
인구 감소 문제에 직면한 수도권 중소 도시들이 재건축과 택지개발, 낙후된 공업지역 개발 등 인구 유입을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사진은 복합환승센터로 개발하려는 GTX-C 노선이 정차하는 군포 금정역 일대 낙후된 도심. 2022.8.7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인구 감소 위기에 직면해 있는 안양, 군포, 의왕시는 도시 특성에 맞게 저마다 해결책을 찾고 있다.

주택 공급 등 낙후돼 있는 도시 개발에 힘쓰는 한편 산업단지 개발 및 주변 인프라 구축도 함께 병행하기 위한 움직임도 감지된다. 특히 젊은 층을 끌어들이기 위해선 다양한 혜택과 복지 혜택, 어린이를 보육할 수 있는 다양한 인프라 구축도 필요하다는 것이 지자체마다 공통된 의견이다.

안양시는 '청년 특별도시'로서의 변화를 강조하고 있다. 청년 세대가 유입되면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가능인구 증가로 도시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20년 인구와 2010년 인구를 비교해보면 만 15세부터 39세까지 청년 인구는 5만6천711명 줄어든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2만4천991명 늘어 청년 인구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양 '청년 특별도시' 뉴딜사업 등
군포, 당정동에 첨단 밸리 일 창출
의왕, 출산·교육 등 정주여건 개선
"젊은 층 끌어올만한 시스템 필요"
이를 위해 안양시는 높은 거주비용으로 부담을 느끼는 청년층을 위해 대출 이자를 지원하는 '안양 청년 인터레스트 지원사업', '신혼부부 주택 매입 및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사업을 추진중이다.

사회 초년생들에게 안정적인 주거 환경 제공을 위해 '안양 8동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비롯한 3천100가구 청년 주택 공급, 인덕원 청년 스마트타운 조성 등도 진행하고 있다. 1기(921억원)에 이어 제2기 청년 창업 펀드를 결성해 청년 창업을 적극 지원하고 청년 부실 채무자 신용회복 등으로 청년이 자립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도 힘쓸 예정이다.

군포시가 인구 증가에 역점을 둔 것은 바로 당정동 공업지역 활성화와 원도심 재개발 및 리모델링 지역에 대한 도시 개발이다. 이는 낙후된 도시 이미지에서 벗어나는 한편 품격있는 도시를 건설하기 위함이다. 시는 시정 구호도 '도시를 가치 있게, 시민을 행복하게'로 확정하는 등 새로운 이미지 창출에 열을 올리고 있다.

 

 

3
인구 감소 문제에 직면한 수도권 중소 도시들이 재건축과 택지개발, 낙후된 공업지역 개발 등 인구 유입을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사진은 복합환승센터로 개발하려는 GTX-C 노선이 정차하는 군포 금정역 일대 낙후된 도심. 2022.8.7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그동안 군포시는 10여 년간 도시 개발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그 결과 청년들과 인구는 타 시·도로 빠져나갔고 원주민들은 도시 개발에 대한 민원을 계속했다. 이에 민선 8기 하은호 군포시장은 당당하게 도시 개발을 기치로 힘찬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재개발 사업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당정동 공업지역에 첨단 밸리를 완성해 일자리 창출과 인구 유입 등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심산이다. 일자리를 확보하고 주택을 마련하면 인구 유입은 당연하다는 의미다.

활발하게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진행 중인 의왕시는 저출산 문제와 교육 문제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의왕시는 아이를 낳고 살기 좋은 도시로 느낄 수 있도록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모든 세대가 행복한 삶을 추구할 수 있는 계획 수립,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21~2025년)' 추진 등 정주여건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있다.

아울러 의왕시는 출산장려금과 산후조리비 지원,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쾌적한 환경 조성과 작은 도서관 운영 지속 확대, 학교 경비 예산 대폭 확대 등을 추진한다.

해당 지자체 관계자는 "단순한 주택 공급은 인구 증가에 일시적인 것에 머물 수 있어 장기적인 안목에서 산업단지 개발, 주변 인프라 구축도 함께 병행해야 한다"며 "젊은 층을 끌어들이기 위한 다양한 혜택과 복지 혜택, 어린이를 안심하고 보육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군포·의왕·안양

/신창윤·송수은·이원근기자 lwg33@kyeongin.com

2022080501000244800010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