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80%가 넘는 면적이 산지로 구성된 강원도에서는 평균 해발 700m인 대관령, 평균해발 900m인 태백 등이 고랭지 채소 산지로 유명하다. 이곳은 여름철 평균기온이 20도 내외로 서늘한 데다 밤낮의 일교차가 커 고랭지 농업이 발달하기에 적합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청정한 자연환경에서 자라난 강원도의 고랭지 배추는 조직이 치밀하게 자라 일반 배추에 비해 당도가 높고 싱싱하며 아삭아삭한 식감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 강릉·평창
여름배추 80% 생산 '강릉·평창'
하늘 아래 첫동네 대관령 자락, 이슬 먹고 자라 '고소'
=하늘아래 첫동네 대관령 자락은 고랭지 배추가 자라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구름위에 밭이 있다는 해발 600m 이상인 이곳에서 우리나라 여름배추의 80% 가량이 생산된다. 여름 강원도만의 맛이 담긴 것이 바로 고랭지배추다.
대표적인 곳이 강릉의 안반데기와 평창 대관령지역 고랭지 밭 등이 주 생산지다. 예전에는 산자락 높은 산비탈에 조각보처럼 조각조각 쪼개진 밭들이 펼쳐졌지만 고랭지농업이 기업화되면서 이제는 드넓은 초원처럼 배추밭이 끝없이 펼쳐진다.
그래서 여름의 끝자락인 8월 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 수확을 앞둔 대관령과 안반데기에 푸른 배추의 장관을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출하 시기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이때를 놓치면 한여름 '풍경의 별미'와 마주하기 위해서는 또다시 1년을 기다려야 한다.
드넓게 펼쳐진 밭들 '풍경 맛집'
섬유질 많고 단단… 저장성 우수
풍경도 풍경이지만 대관령 고랭지배추가 유명한 것은 바로 그 맛에 있다. 구름위에 밭이 있다보니 아무리 무더운 여름이래도 아침과 저녁은 서늘하다. 일교차가 클수록 배추에는 많은 이슬이 달린다.
이슬 먹고 크는 대관령 고랭지배추는 섬유질이 많고 단단해서 저장성이 좋다. 그리고 고소하고 한잎 베어물면 입안 가득 배추의 즙이 가득하다. 그러니 아삭아삭 고소한 배추의 맛이 남다를 수밖에 없다.
여름배추는 작다. 가을배추같이 속이 꽉 차 있지는 않고 결구율이 85%일때 수확한다. 중요한 것은 그래도 다른 여름배추같이 퍼런 잎사귀만 성하지 않고 노란 속 알맹이도 제법 들어차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고랭지배추로 여름김치를 담그면 고소한 배추의 풍미가 고스란히 남아있다. 손바닥만한 노란 배춧잎에 쌈만 싸 먹어도 여름 무더위에 지친 몸에 기운을 넣어준다.

■ 태백
배추밭·풍력발전기 진풍경 '태백'
구름도 머물다 가는 '바람의 언덕'… 청량한 식감 자랑
=고원도시 태백시에는 두 곳의 고랭지 '배추고도'가 자리하고 있다. 매봉산 '바람의 언덕'과 귀네미마을이다. 서울 남산(해발 262m)보다 거의 5배가 높은 매봉산은 해발고도가 1천303m를 자랑한다.
백두대간과 낙동정맥의 분기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곳에 조성된 고랭지 배추밭으로 유명하다. 해발고도 1천303m 정상에서부터 1천100m 8부 능선까지 고랭지 배추밭이다. 워낙 높은 곳에 조성되다 보니 배추밭 위로 구름이 수시로 넘나들며 쉬어간다.
매봉산에서 자라는 배추는 일교차가 큰 날씨 덕에 고소한 맛과 아삭한 식감이 특징이다.
일교차 큰 날씨 덕에 풍미 가득
이국적 풍광 찾아 관광객 '발길'
'바람의 언덕'이 자리한 매봉산 고랭지배추단지는 일출이 아름다운 곳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하얀 풍력발전기와 132만㎡(약 40만평) 넓이의 푸른 고랭지 배추밭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며 아름다운 풍광을 연출하고 있다. 시원한 바람과 이국적인 풍광을 찾아 매년 수만 명의 관광객이 '바람의 언덕'을 찾는다.
매봉산의 7~8월은 평균기온이 12~19도에 불과한 데다 초속 5~8m의 바람이 자주 불어 청량감을 더해준다. 이로 인해 피서철 매봉산 '바람의 언덕'일대에는 배추밭과 풍력발전기를 보기 위해 찾아오는 관광객들로 북적인다.

■ 홍천
전국 고랭지 무 24% 차지 '홍천'
생육 조건 적합한 서늘한 기후… 당분 많고 조직 단단
=홍천 내면은 고랭지 무의 주산지다. 전국 고랭지 무 총 생산량 23만7천t의 24%를 차지한다.
내면 일대 고도 600m 이상에서 생산하는데 주산지는 창촌리, 방내리, 자운리 등이다. 파종기간은 단모작의 경우 6월 중순부터 7월 초순, 이모작은 7월 중순부터 8월 초순까지이며 출하는 8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다.
올해는 164개 농가에서 545㏊ 5만6천50t을 생산하고 있으며 폭염, 폭우 등으로 일부 생육 부진을 보이고 있지만 전반적인 작황은 양호한 편으로 알려졌다.
일교차 큰 날씨 덕에 풍미 가득
이국적 풍광 찾아 관광객 '발길'
고랭지 무는 일반적으로 여름 무로 불린다. 저위도에 위치하고 표고가 600m 이상으로 높고 한랭한 곳에 심어 가꾼다. 내면이 주산지인 이유다. 무는 더위에 약하고, 서늘한 기후에서 가장 잘 자라기 때문에 겨울 무는 당분이 많고 조직이 단단해 어떤 요리를 해도 풍부한 맛을 낸다.
품종뿐 아니라 부위에 따라서도 각기 다른 맛과 쓰임새를 가진 무는 감기 예방과 소화 기능 개선, 숙취 해소, 항암 효과, 다이어트 등 다양한 효능을 갖고 있다. 특히 비타민 C가 풍부하며 무에 함유된 메틸메르캅탄 성분은 감기 균 억제 기능이 있어 감기 예방에 효과적이다.
/강원일보=김광희·조상원·하위윤기자
